애큐온저축은행이 인공지능(AI)과 로봇 자동화 시스템(RPA)을 기반으로 한 IB(투자은행) 및 모기지 심사 시스템을 개편했다고 22일 밝혔다.

애큐온저축은행 CI. / 애큐온저축은행
애큐온저축은행 CI. / 애큐온저축은행

이번 개편은 크레탑(CRETOP), 다트(DART) 등 주요 금융 데이터 사이트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집 및 분석 체계를 마련한 것이 특징이다. 

각 사이트에서 자동으로 사업보고서와 신용평가 보고서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최신 AI 모델인 GPT를 활용해 자동 요약∙정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심사 과정에서 필요한 시장 동향 분석도 실시간으로 수집돼, 심사자가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시장 흐름을 파악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과거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보고서 작성이 자동화됐으며, 심사에 필요한 필수 보고서가 자동 생성돼 심사 속도와 정확성이 크게 향상됐다.

IB 부문에서는 상품별 심사 매뉴얼과 기준, 체크리스트를 표준화하고 이를 모든 심사 과정에 적용해 일관성을 강화했다. 

제조업 및 ESG 평가에 특화된 기업평가 등급도 도입해 다양한 산업군에 대한 심사 기준을 객관화했다. 

모기지 심사 부문에서는 설명가능한 머신러닝(ExML) 알고리즘을 적용해 ‘사업자 AS(Application Scoring, 신규 신청 고객 신용 평가) 모형’의 자체 개발을 통해 사업자에 대한 심층적이고 정교한 평가가 가능해졌다. 

RPA 및 프로세스 기술혁신(PI) 기반의 모기지 차주 신용평가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모기지 심사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금융 인프라를 갖추게 됐다.

애큐온저축은행은 이번 시스템 개편을 기반으로 내년까지 2차 심사 역량 강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