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위원장이 비상계엄령 사태로 시장 혼란이 촉발될 것으로 예상해 당분간 주식과 채권, 단기자금, 외화자금시장이 정상화될 때까지 유동성을 무한 공급하기로 했다. 아울러 10조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펀드'(증안펀드) 등 시장안정조치도 언제든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4일 금융위원회는 김병환 위원장 주재로 '금융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김병환 위원장을 비롯해 금융위의 김소영 부위원장과 권대영 사무처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또 예금보험공사,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한국증권금융, 한국예탁결제원, 서민금융진흥원 각 수장과 산업은행 수석부행장, 자산관리공사 부사장, 은행연합회 등 각 업권협회장도 자리했다.
김병환 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오늘 아침에 개최된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에서 당분간 주식·채권·단기자금·외화자금시장이 완전히 정상화될 때까지 유동성을 무제한으로 공급하기로 했다"며 "특히 증시는 10조원 규모의 증안펀드 등 시장안정조치가 언제든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채권시장·자금시장에는 총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 안정펀드(채안펀드)와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을 최대한 가동해 안정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금융회사 외환건전성을 면밀히 점검해 증권금융을 통한 외화유동성 공급 등을 통해 환율 상승에 따른 마진콜 위험 등에도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각 기관에도 철저한 대응을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각 기관들은 각자 영역에서 미리 준비된 대응계획에 따라 철저히 대응해 주길 바란다"며 "거래소 등 증권유관기관은 주가조작, 공시위반, 시세조종 등 시장질서 교란행위를 막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했다.
각 금융협회에는 건전성 강화와 충분한 외화유동성 확보를, 정책금융기관들에는 서민, 소상공인, 기업들에 대한 적극적·탄력적인 자금 공급 대응을 요청했다. 특히 금융보안원에는 금융시스템에 보안 사각지대가 없도록 전 금융권 전산 보안 체계에 대한 일제 점검을 실시해 달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정부와 관계기관은 금융시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시장안정을 위한 모든 조치를 신속히 단행할 것"이라며 "국민들께서도 냉정하고 차분하게 대응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전대현 기자 jdh@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