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국회 의결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해지한 4일 “대통령이 ‘반국가 세력’이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한 것이 계엄론의 논리적인 밑밥을 까는 것이고 빌드업이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뉴스1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뉴스1

김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윤 정권이) 워낙 국정을 못하기 때문에 계엄과 테러, ‘사법적으로 상대편 죽이기’ 외에는 정권 교체를 막을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등 종합적 판단을 했던 것이 제가 문제를 제기했던 배경”이라고 말했다.

앞서 김 최고위원은 8월 21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차지철 스타일의 야당 입틀막 국방장관으로의 갑작스러운 교체와 대통령의 뜬금없는 반국가 세력 발언으로 이어지는 최근 정권 흐름의 핵심은 국지전과 북풍 조성을 염두에 둔 계엄령 준비 작전이라는 것이 근거 있는 확신”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이 밖에도 그는 당시 ‘계엄설’을 주장한 배경과 관련해 “거기(계엄)에 동원될 세력으로서의 ‘충암파’들을 재배치하는 것이 이상하다고 판단했다”며 “가장 큰 핵심적 동기는 ‘김건희 감옥 가기 싫다’이다”라고 말했다.

실제 비상 계엄 선포를 건의한 것으로 알려진 김용현 국방장관은 윤 대통령의 충암고 1년 선배고, 정보기관인 국군방첩사령관에 임명된 여인형 중장도 충암고 출신이다. 방첩사는 박근혜 정부 시절 계엄령 검토 문건을 작성한 국군기무사령부(기무사)의 후신이다.

계엄이 선포되면 주요 사건 수사를 지휘하고 정보·수사기관을 조정·통제할 합동수사본부가 방첩사에 꾸려진다. 또한 대북 특수정보 수집의 핵심 기관인 777사령부 수장인 박종선 사령관, 현행 계엄법상 국방부 장관과 함께 대통령에게 계엄 발령을 건의할 수 있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도 충암고 출신이다.

더불어 김 최고위원은 “채상병 문제와 관련돼 있는데 아마 대통령을 포함해 국방부 장관 등등이 다 연루돼 있을 거라고 저희는 본다”며 “결국은 진실이 규명되면 감옥에 갈 수밖에 없는 자들이 자기 보존을 위해 사고를 친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명 기자 simal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