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는 24일 진행된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발 위기에 대한 입장을 내놨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멕시코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 대비에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아 멕시코 생산 공장. / 기아
기아 멕시코 생산 공장. / 기아

정성국 기아 IR 전략투자담당 전무는 “현재 멕시코에서는 12만대의 K4가 생산돼 미국으로 건너가고 있다”며 “아무런 조건 없이 멕시코에 수출 제재가 가해진다면 캐나다로 더 선적하거나 멕시코 물량의 목적지를 수정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을 준수하기 위해 현지 부품 및 인력 비율이 60~70%로 높고 엔진은 미국 앨라배마 공장에서 가져오는 등 많은 비용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대로 높은 관세가 부과된다면 공급망관리를 효율적으로 변경해 비용 부담을 낮추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승준 재경본부장은 “단기적으로는 부과되는 관세로 추가 부담이 발생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가격 인상 혹은 생산지 조정 등을 통한 대비를 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큰 위험은 없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허인학 기자

ih.he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