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7일 “현시점이 금융산업의 미래 대응을 위한 골든 타임”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오후 2시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미래 변화와 금융의 성장 전략’ 세미나 기조연설에서 “향후 5년간은 인구 구조 변화, 기후 변화, 기술 확산에 대응한 새로운 금융 수요가 등장하는 금융의 전환점이 될 것”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금융은 우리 경제에서 실물 경제를 지원하는 핵심 요소이자 독자적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 산업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면서도 “인구부족과 기후변화, 기술 혁신과 같은 미래의 거대한 변화의 흐름이 금융의 질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금융은 경제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을 요구받고 있고, 이에 따라 금융 산업의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앞으로는 인구구조 변화, 기후 변화, 기술 혁신 등의 이유로 경험해보지 못한 변화가 예상된다” “금융은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변화에 적응,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미래 변화에 대응해 금융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대응방안으로 ▲변화의 속도를 늦추거나 변화로 인한 부정적 충격을 낮추는 ‘완화’ ▲기존의 금융을 고도화 하는 ‘적응’ ▲‘혁신’ 등을 세 가지를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완화’ 전략에 대해 “범정부적으로 미래에 대비한 정책 과제를 검토하고 있으며 재정 세제 정책, 금융 연계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청년층 자산 형성과 국민의 자산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정책 지원, 기후변화 대응, 첨단 전략, 산업 등 분야의 정책 금융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금융위는 올해 중 청년도약계좌 수익률 제고, 노후지원 보험 서비스 활성화, 첨단 전략 산업 분야 정책 금융 공급 확대 등을 추진 중이다.
기존 금융을 고도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전문화전략을 수립하고 금융‧비금융 데이터를 활용한 신용평가 고도화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혁신’ 전략에서는 보험-의료 서비스 연계와 같은 금융-비금융 협력 모델 활성화, 금융 분야의 진입·퇴출 제도 정비, 금융의 국제화를 통한 시장 확대 등을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지급 서비스 분야 제도 개선, 금융회사 업무위수탁제도 개편, 토큰증권과 조각투자 플랫폼 제도화, 가상자산 2단계법 등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