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정책학회(학회장 이경원 동국대 교수)·한국통신학회(학회장 허준 고려대 교수)·한국경영과학회(학회장 모정훈 연세대 교수)가 17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인공지능(AI)시대, 국가 정보통신기술(ICT)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방향’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인공지능(AI) 시대, 국가 정보통신기술(ICT)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방향’ 토론회 포스터. / 정보통신정책학회·한국통신학회·한국경영과학회
‘인공지능(AI) 시대, 국가 정보통신기술(ICT)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방향’ 토론회 포스터. / 정보통신정책학회·한국통신학회·한국경영과학회

이날 토론회에서는 정부와 학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우리나라 ICT 산업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AI 시대의 글로벌 주도 국가로 도약을 위한 국가 ICT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방향에 대해서 열띤 토론을 펼쳤다.

신민수 한양대 교수는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서 ‘새로운 정보기술(IT) 패러다임과 IT 산업 혁신 정책’을 주제로 발표했다. 곽규태 순천향대 교수는 AI 전환(AX) 시대에 플랫폼과 미디어 산업의 문제점과 8대 해결 방안릏 발표했다. 

모정훈 연세대 교수는 국가 AI 생태계 혁신과 함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AI 인프라는 물론 AI 모델 및 서비스 분야에 대한 초대규모의 투자가 필요하나 이는 정부나 개별 기업이 단독으로 감당할 수 있는 규모가 아니라고 밝혔다. 홍인기 경희대 교수는 네트워크 정책과 ICT 복지 정책을 발표했다. 

2부에서는 이경원 동국대 교수를 좌장으로 토론이 진행됐다. 토론에서 안정민 한림대 교수는 AX 시대에는 범용보다는 특화 영역에서 기회를 모색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정부가 ‘시장 중심형 정책’으로 정책 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종관 법무법인 세종 박사는 정보통신, AI, 미디어 산업으로 통칭되는 ICT 산업을 국가 미래 전략 산업화해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모델을 수립하자고 제안했다. 미디어 산업에 대해서는 정책 재편 측면에서 공정 영역과 산업 영역을 명확히 구분하고 플랫폼 산업은 글로벌 추세를 고려해 보편적 규제와 특화된 규제는 구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홍주 가톨릭대 교수는 국가 AI 전환 가속화를 위해 우리 AI 컴퓨팅 인프라와 우리 AI인재가 개발한 우리 AI모델이 필요하다며 토종 기술과 인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황승훈 동국대 교수는 차세대 ICT 네트워크의 혁신 요소는 AI가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주파수별 다양한 기술 표준과 주파수 폭의 유연한 적용 ▲통신 투자 산정방식을 기지국 수와 같은 전통적 방식에서 네트워크 내 빅데이터 서버와 프로세스 등 AI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를 포함한 방식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