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실현하기 위한 기본 인프라다. 정부 예산 편성 시에도 AI와 더불어 클라우드 산업에 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최지웅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장(KT클라우드 대표)은 24일 서울 강남 더피나클타워 KT클라우드 사무실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AI와 클라우드를 한 묶음으로 보고 예산과 전략을 정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민간 CSP 중심으로 공공 클라우드 전환 이뤄져야”
정부 부처는 국내 클라우드 보안에 지속 의문을 제기하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운영 모델(PPP)’을 중심으로 공공사업을 발주하고 있다. 아울러 아마존웹서비스(AWS)·구글·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클라우드 3사가 모두 클라우드보안인증제(CSAP) 등급을 획득하며 공공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있다. 중소 CSP(클라우드 서비스 제공기업)를 중심으로 글로벌 기업의 공공 클라우드 시장 잠식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최 협회장은 공공 클라우드 전환을 위한 PPP가 “역으로 지역 클라우드 산업 생태계를 죽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 분산형 PPP 증설을 넘어, 민간 CSP가 정부 요구사항에 맞춰 센터를 건설 및 제공하는 등 기존 방식을 완전히 다른 형태로 개선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최지웅 협회장은 “PPP의 물리적 수용 한계 및 위치 때문에 지방에 위치한 중견 MSP(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사업자)들은 사업을 포기하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며 “국가 데이터센터를 짓는 방식이 아니라, 민간 CSP가 참여 가능한 개방형 인프라 모델을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소버린 AI’와 함께 ‘공공 클라우드의 민간 클라우드 전환 활성화’를 공약으로 내세우기도 했다. 실제로 새 정부는 초대 AI 미래기획수석에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 혁신센터장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 장관에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을 임명하는 등 민간 기업 출신 인사들로 내각을 꾸리고 있다.
최지웅 협회장은 새 정부의 주요 정책인 ‘소버린 AI’에 대해 “목적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소버린 AI의 정의에 대한 관점이 달랐다면, 이제는 명확하게 잡혀가고 있는 것 같다”며 “하드웨어 생산부터 소프트웨어 관리까지 풀스택으로 할 수 있는 나라는 한국과 미국, 중국뿐”이라고 설명했다.
최 협회장은 소버린 AI의 궁극적인 목표를 ‘생성형 AI 무료 보급을 통한 부의 재분배’라고 정의했다. 그는 “AI 기술을 활용해서 사회 전반의 문제점을 없앨 수 있는 ‘지속 가능하고 신뢰 가능한 AI를 만들어 보자’는 목표”라며 “정부는 전 국민이 무료로 생성형 AI를 활용해서 전체 생산성을 높이고 그에 대한 부의 재분배가 다시 이뤄질 수 있게 하겠다는 기조를 얘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I 수석 같은 ‘클라우드 컨트롤타워’ 필요해
최지웅 협회장은 클라우드 산업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I 미래기획수석’과 같은 거버넌스가 생겨야 클라우드 산업 또한 활성화될 거라는 설명이다.
현재 한국 클라우드 정책은 과기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나눠서 진행하고 있다. 주무 부처 간의 역할 분담 불명확성과 정책 조율 미흡 등 문제점이 실행력 저하와 책임 회피라는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클라우드 산업 발전을 위한 장기적인 플랜도 부재한 상황이다.
최지웅 협회장은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얻는 효익을 현업 부서에서는 쉽게 체감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비일관적인 정책 등 20년째 반복되는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소버린 클라우드’를 육성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외산 클라우드의 경우 국내 리전에 있어도 ‘클라우드 액트(Cloud Act)’ 등 법령으로 자국에서 데이터를 공개하라 하면 이에 따라야 한다”며 “소버린 AI에서 이용하려는 데이터의 대부분은 로컬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일 것이며, 그것이 국내 CSP의 존재 이유”라고 설명했다.
김경아 기자
kimka@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