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재명 정부의 첫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서 인공지능(AI)과 보안 관련 예산을 늘렸다. AI 정부를 표방한 현 정부 기조에 맞추고 SK텔레콤 해킹 사태 이후 어느 때보다 보안 영역이 중요해진 데 따른 결정으로 풀이된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 뉴스1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 뉴스1

과기정통부는 26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057억1100만원 늘어난 2차 추경안을 꾸렸다고 업무보고했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이번 2차 추경을 통해 11개 세부사업을 증액 편성했다. 이 중 신규 사업은 4개다.

AI 분야를 강화한 게 눈에 띈다. AI 분야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등에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AI 혁신펀드 사업에 1000억원이 증액 편성됐다. 공공부문에 AI 서비스를 도입해 공공 분야의 AI 대전환(AX)을 촉진하기 위한 공공AX 프로젝트 사업에도 300억원이 증액 편성됐다.

국내 기술로 개발한 AI 반도체의 활용·확산을 위한 기술 실증을 지원하기 위해 AI 반도체 실증 지원 사업에도 300억원이 증액 편성됐다.

보안 영역도 강화했다. 정보통신 기반보호 강화를 위해 67억4000만원을 증액했고 인터넷 경로보안 고도화를 위해 30억1100만원을 새로 편성했다. 또 해킹바이러스 대응체계 고도화를 위해 90억원을 증액했고 AI 기반 침해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50억원을 새로 편성했다. 

지역균형 발전 균형도 꾀한다. 디지털역량강화교육을 위해 65억8000만원을 증액했고 지역디지털인재 양성을 위해 33억8000만원을 증액한다. 제조업 AI 융합 기반 조성을 위해 40억원을 증액했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AI 혁신펀드는 2025년 본예산에서 신규 도입된 후 자펀드 결성과 AI기업으로의 투자가 이뤄지기 전에 추경 편성을 통해 출자금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펀드 결성 및 AI기업 투자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며 "중소벤처기업부의 AI 펀드와 투자대상 등에서 역할 구분을 통해 초기창업기업, 다양한 AI 기술 분야로의 투자가 이뤄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