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농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식량안보 체계 확립과 농·축산물 수급 안정·스마트 농업 확산·K푸드 수출 활성화 등을 주요 과제로 꼽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6일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4개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 소관 국정과제는 ▲국민 먹거리를 지키는 국가전략산업으로 농업 육성 ▲국가 책임을 강화하는 농정 대전환 ▲균형성장과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는 농산어촌 ▲사람과 동물이 더불어 행복한 사회 등 4개다.
농식품부는 식량 자급률 목표를 상향하고 안정적 생산과 공급 기반을 마련한다. 전 국민 먹거리 안정을 위해 농식품 바우처는 차상위 계층 청년 가구까지, 아침밥은 대학생에서 산업단지 근로자까지 각각 확대하고 초등학생 과일 간식과 임산부 대상 친환경 농산물 공급을 재개한다.
인구감소 지역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장인 든든한 한 끼’ 사업을 새로 추진한다.
인공지능(AI)·로봇 등 첨단기술과 연계해 스마트농업을 고도화하고 전체 농가 대상으로 보급을 확산한다. 특히 ‘K푸드’ 수출은 지난 2024년 약 100억달러(약 13조8000억원)에서 오는 2030년 150억달러(약 20조7000억원)로 늘리겠다는 목표다.
농산물 도매 유통의 50% 이상을 온라인 도매로 전환해 유통비용을 줄여 생산자와 소비자의 이익을 도모하고 기존 경매제 중심의 가격결정 시스템을 다변화해 도매시장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등 유통구조를 전면 혁신한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농업인과 소비자단체가 참여하는 ‘K-농정협의체’ 등과 함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국정과제의 세부 내용을 구체화하고 보완할 계획이다.
변상이 기자
differenc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