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7년 만에 부총리급 부처로 승격됐다. 과학기술과 인공지능(AI) 분야의 국가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할 전망이다.
대통령실은 국무회의에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에 따라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부총리직을 함께 맡아 과학기술과 AI 정책을 관계 중앙행정기관 전반을 총괄·조정하게 된다.
정부는 AI G3 도약을 위해 부총리 직속으로 ‘과학기술·인공지능정책협력관(국장급)’을 신설한다. 또한 ‘과학기술·인공지능 관계 장관회의’를 설치해 범부처 리더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회의는 국가적 노력이 필요한 의제를 기획하고 공유해 전 부처를 원팀으로 묶는 실질적 협력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된다.
기존 ‘국’ 단위였던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인공지능정책실’로 확대·강화한다. 산하에는 인공지능정책기획관과 인공지능인프라정책관을 둔다. 인공지능정책실은 국가 AI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핵심조직으로, 국가 AI 생태계 구축과 범정부 차원의 혁신 주도 역할을 할 예정이다.
인공지능정책기획관은 AI 산업 육성 및 안전·신뢰 확보를 위한 정책과 법·제도를 설계하며 AI 인재 양성에 주력한다. 인공지능인프라정책관은 AI 컴퓨팅 자원, 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핵심 인프라를 확충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공·산업·지역의 AI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대변인 직위 또한 국장급에서 실장급으로 상향된다.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맞춰 과학기술 및 AI 분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번 조직개편은 단순한 정부조직의 변화가 아니라, 과학기술 및 AI로 국민의 삶은 물론 우리 경제·산업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이끌 국가적 대전환의 기폭제가 될 것이다”라며 “부총리 역할을 무거운 책임감으로 받아들이며, 국민 모두가 인공지능의 혜택을 누리는 AI 기본사회를 실현하고, 글로벌 경쟁에서 확실한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이끌겠다”라고 밝혔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