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반도체 투톱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추운 겨울을 맞이할 것이란 과거 전망과 달리 따뜻한 겨울을 보내는 중이다. 잇따른 호재로 외국인 투자자의 집중 매수가 이어지며 양사의 주가도 상승세를 탄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8만전자’와 ‘13만닉스’ 고지에 안착할 수 있을 지 반도체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500원(0.63%) 오른 7만9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오전 10시 28분쯤에는 장중 8만원을 터치하기도 했다. 삼성전자 주가가 8만원대를 기록한 것은 8월10일 이후 4개월쯤만이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 삼성전자
삼성전자의 주가 상승은 최근 미국 반도체기업 마이크론이 시장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며 업황 개선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마이크론은 9∼11월 분기 매출이 2020년 동기 보다 33% 증가한 76억9000만달러(9조1400억원)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6억3100만달러(약 3조1400억원)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203.8% 늘었다.순이익도 23억달러(2조7300억원)로 2.16달러의 주당 조정 순이익을 올렸다고 발표했다.
메로트라 마이크론 CEO는 "메모리반도체 수요 강세는 2022년을 넘어 그 이후까지도 지속될 수 있다"며 "마이크론은 회계연도 1분기에 역대 최대 규모 매출과 양호한 수익성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D램 시장점유율은 43.9%로 압도적 1위다. 삼성전자의 D램 시장점유율은 2020년 4분기 41.0%에서 올해 1분기 41.2%, 2분기 43.2%로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