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전반에 ‘디지털 혁신'이 촉진되도록 관련 규제와 법률 개정을 추진해 나가겠다."
김주현 금융위원장 내정자가 지명 발표 후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융 규제를 과감히 쇄신하겠다"며 던진 포부다. 김주현 내정자는 금산분리를 완화하고, 핀테크 산업 발전을 지원하는 등 업계가 과도한 규제라고 생각하는 부분을 개혁해 금융 산업을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7일 윤석열 정부의 금융당국 수장들이 동시에 교체됐다. 김 내정자는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금융위원장직을 임명 받았다. 그는 금융당국과 업계 전반을 아우른 경력을 지닌 전문가다. 현재 여신금융협회 제12대 회장을 맡고 있으며, 예금보험공사 사장과 우리금융지주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를 맡은 적도 있다.
당국 경력은 금융위에서 쌓았다. 그는 앞서 금융감독위원회와 재정경제부의 금융정책 부문이 통합돼 금융위원회로 재편된 2008년에 금융위에서 첫 금융정책국장을 지냈다.
금융감독원장은 절차에 따라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이복현 전 부장검사를 임명 제청하는 형태로 지명됐다. 이복현 신임 금감원장은 ‘사상 첫 검찰 출신 금감원장’이 탄생했다는 이슈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 신임 금감원장은 공인회계사와 사법 시험에 모두 합격한 금융·경제 전문가다.
금융위는 그를 제청한 이유로 ‘검찰 재직 시절 굵직한 경제범죄 수사 업무에 참여한 경험'을 꼽았다. 이를 통해 "금융사의 준법경영 환경을 조성하고, 금융소비자보호 등 금융감독원의 당면한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적임자로 평가됐다"는 의견이다.
현 시점에서 이들의 임명이 주목 받는 이유는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경제불황 속에서 "보다 안정적인 금융 정책과 감독 정책이 빠른 시일 내에 나올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 때문이다. 새로운 정부의 금융당국 수장의 구성이 완료되면서 이제 업계는 어떤 새로운 정책이 나올지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금융 산업의 이슈는 산적해있다. 그 중에서도 금융권 수장들이 신년사에서 외친 ‘디지털 전환(DT·Digital Transformation)'은 더욱 시급한 과제다. 아직까지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은행권의 경우 기존 지점을 없앤 자리에 비대면이나 화상 상담으로 업무를 보는 디지털 창구를 늘리고 있다. 그러나 노년층 등 금융 취약계층까지 포용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디지털 전환의 핵심은 보안이다. 그러나 최근 기업 내부의 보안을 적절히 걸러내는 ‘내부통제' 시스템이 허점투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KB저축은행 94억원, 신한은행 2억원, 새마을금고 40억원, 우리은행 670억원 등 은행권 횡령 사고가 연이어 발생했다. 따라서 디지털 전환에 맞춰 부실한 내부통제를 관리할 당국의 새로운 대책도 시급하다.
그동안 빅테크와의 경쟁에 뒤쳐지던 금융권이 저마다 속력을 내기 위해 각종 비대면 채널과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그 속에서 금산분리로 인한 신 사업 진출의 한계와, 부족한 내부통제로 인한 사건사고를 겪는 등 금융권은 격변의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들이 속력을 더 낼 수 있도록, 그리고 안전하게 금융 소비자 보호를 실현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전환에 동력을 달아주는 당국이 되길 바란다.
박소영 기자 sozer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