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진 KT컨설팅그룹장 전무가 "저희 본연의 통신기술(CT)을 인공지능(AI)과 결합해 'AICT'(인공지능+정보기술) 컴퍼니로 나아가겠다"고 다짐했다.

정우진 KT컨설팅그룹장 전무가 27일 IT조선 인공지능(AI)&클라우드(Cloud) 2024 - AI 비즈니스와 클라우드 미래포럼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새로운 모멘텀 AX(AI Transformation·AI 전환)!'라는 주제로 기조연설하고 있다. / IT조선
정우진 KT컨설팅그룹장 전무가 27일 IT조선 인공지능(AI)&클라우드(Cloud) 2024 - AI 비즈니스와 클라우드 미래포럼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새로운 모멘텀 AX(AI Transformation·AI 전환)!'라는 주제로 기조연설하고 있다. / IT조선

정 그룹장은 27일 IT조선 인공지능(AI)&클라우드(Cloud) 2024 - AI 비즈니스와 클라우드 미래포럼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새로운 모멘텀 AX(AI Transformation·AI 전환)!'라는 주제로 기조연설했다.

그는 "클라우드가 이미 업계에서 공기가 돼버렸다. 일상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그런 존재가 됐다"며 "미국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 순위인 S&P 500 지수에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3사가 탑10에 이미 포진돼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AI의 경우도 올해 AI가 비즈니스에 접목되고 매출이 일어나고 세상에 혁신이 일어날 수 있다. AI 소비자화(AI Consumerization) 시대가 왔다"며 "이를 위해 더 많은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필요하고 더 많은 인프라가 요구되고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더 많은 자원이 소모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내다봤다.

정 그룹장은 "AI와 클라우드의 접점은 당연히 GPU에 있다고 본다. 이 규모의 싸움에서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까라는 조심스러운 관점이 있다"며 "KT도 1년간 GPU를 상당히 많이 구매했고 이용하는 기업 중 하나였는데 과연 이들과 싸움에서 어떻게 가야 할지 고민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번에 통신사에 다시 기회가 왔다고 진단했다. 정 그룹장은 "첫 번째 기회는 인터넷 버블이라고 해서 인터넷이 급성장했을 때였는데 KT도 포털과 검색 서비스가 있었다"며 "두 번째 기회는 스마트폰 모바일 시대였고 저희도 스마트폰 기반 다양한 모바일 최첨단 앱을 개발했다. 하지만 저희가 주도권을 갖거나 플랫폼을 가지지는 못했다"고 인정했다.

정 그룹장은 "저희는 이번이 세 번째 기회가 왔다고 본다. AI로 촉발된 이 시대에 과연 통신사가 어떤 역할을 할지 근원적 고민을 하게 됐다. 결론적으로 클라우드와 AI가 같이 갈 수밖에 없다는 점을 시장에서 확인했다"며 "KT도 AI와 클라우드를 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 결국 새로운 모델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