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서울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인텔 AI 서밋 서울 2024'에 참가한 저스틴 호타드 인텔 수석 부사장이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강조했다. 그는 국내 대표 협력사인 네이버 외에도 삼성, SKT, LG 등과의 장기 파트너십을 언급하며 "한국 기업 파트너들과의 협력이 인텔의 AI 미래의 핵심에 있다"고 말했다.

저스틴 호타드 인텔 DCAL 총괄 수석 부사장이 5일 열린 '인텔 AI 서밋 서울 2024'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 인텔코리아
저스틴 호타드 인텔 DCAL 총괄 수석 부사장이 5일 열린 '인텔 AI 서밋 서울 2024'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 인텔코리아

인텔의 인공지능(AI) 전략은 PC, 엣지 그리고 데이터센터까지 전체를 망라하는 '개방형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엔터프라이즈(기업) AI'의 활용 사례를 늘리고 애플리케이션 지원을 확장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인텔이 네이버를 파트너로 선택한 것은 이 같은 전략과 맞닿아 있다. 네이버가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일 뿐만 아니라, 이용 사례가 광범위한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스틴 호타드 수석 부사장은 네이버에 대해 "새로운 기회나 아이디어를 테스트할 수 있는 굉장히 좋은 파트너"라고 언급했다.

저스틴 호타드 수석 부사장은 이날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네이버 외 다른 국내 기업들과의 파트너십도 언급했다. 인텔과 SKT는 공동 연구를 통해 '6G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저스틴 호타드 부사장은 "6G라는 것은 AI 애플리케이션의 확산 도입에 정말 중요한 부분"이라 말했다.

AI PC 분야에서는 삼성과 LG를 언급했다. 그는 "삼성과 LG는 스크린 기술, IC 메모리, 모바일 디바이스 등에서 많은 혁신을 해왔고 이런 파트너들과 함께 AI PC 시대를 열어가는 것에 대해서 크게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4월에는 삼성전자가 인텔과 협력해 AI '올인원' PC를 출시했다. 

인텔은 앞서 차세대 AI PC용 프로세서 '루나레이크', AI 가속기 '가우디 3' 등 신제품을 잇달아 발표했다. 여기에 개방형 플랫폼을 구축하며 기업들의 접근성을 낮추고 애플리케이션 지원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한편, 시장 추산으로 AI 칩 시장에서 점유율 80%를 차지하는 엔비디아의 독과점에 대한 질문에는 다시 한번 네이버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저스틴 호타드 수석 부사장은 "경쟁을 잘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생태계가 필요하고 경쟁이 잘 이루어질 때 혁신이 제고될 수가 있다"며 "이런 철학에서 네이버와 공감대가 있었다"고 전했다. 

김홍찬 기자 hongcha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