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을 향해 검찰의 수사 압박이 거세지면서 카카오 그룹 콘트롤타워에 비상이 걸렸다. 그룹 콘트롤타워인 CA협의체 결성을 주도한 김 위원장 스스로가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돼 검찰의 강도높은 수사를 받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카카오 오너리스크 재점화에…CA협의체 비상
10일 검찰에 따르면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은 지난 9일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소환돼 20시간 넘는 고강도 밤샘조사를 받았다. 검찰이 김 위원장을 소환한 것은 지난해 11월 15일 금융감독원 특별사법경찰이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한 지 8개월만이다.
검찰은 김 위원장이 카카오의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혐의와 관련 주가조작을 지시하거나 승인했을 가능성을 두고 집중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시세조종을 입증할 상당한 자료를 확보한 상태로, 최근에는 카카오그룹 투자심의위원회에서 김 위원장이 승인에 개입했는지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투심위는 카카오 고위 경영진이 참석해 M&A 등 투자와 관련 중요 사안을 결정하는 기구다.
특히 이준호 카카오엔터테인먼트 투자전략부문장이 지난 5일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 공판에 증인 출석해 카카오가 공개매수를 저지하기 위해 원아시아파트너스와 손잡았다고 폭로하면서 수사에 탄력이 붙은 상태다.
이외에도 카카오는 모빌리티 콜 몰아주기 의혹,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관계사 임원들의 횡령·배임 등 의혹으로 검찰의 수사를 동시에 받고 있다.
업계에서는 올해 김범수 위원장 소환을 계기로 검찰의 압박이 거세질 것이라며, 카카오 그룹 전사적으로 총수 리스크 해소가 전사적인 해결과제로 떠올랐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계열사 사법 리스크가 맞물리면서 그룹 차원에서 지난해부터 진행중인 그룹 콘트롤타워격인 CA협의체의 경영 쇄신 작업도 중단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우려도 나온다.
앞서 카카오는 지난해말 김 위원장이 경영 전면에 나선 뒤 카카오 및 카카오 계열사 대표 교체 등 대대적인 쇄신에 돌입한 바 있다. 올해에는 그룹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는 'CA협의체' 개편, 계열사의 준법·윤리경영을 지원하는 독립기구인 카카오 준법과신뢰위원회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다빈치가상대학장)은 "쇄신을 주도한 인물은 김범수 위원장인데, 본인 스스로가 여러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CA협의체는 추진 동력을 잃을 수 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과거 진행했던 경영진의 비상경영회의는 8차례만에 중단됐고, 새로 꾸린 CA협의체에서도 의미있는 쇄신책이 나오지 않았다"라며 "현재로서는 카카오도 (추가) 혁신안을 낼 동력이 고갈된 상태로 보인다"라고 지적했다.
이선율 기자 melody@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