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AI 열풍으로 각 산업분야에서 LLM(거대언어모델) 도입 시도가 활발하다. 보안업계 역시 기술 경쟁력 강화에 고삐를 당기고 있다.
최근 라온시큐어는 LLM 기술 고도화에 나서 업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근 악성코드, 보안침해 대비를 위한 신기술을 특허로 등록하면서다. 해당 기술은 비전문가도 보안 문제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박현우 라온시큐어 AI연구센터장은 "비전문가도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어 시간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많은 사람들이 신속하게 보안 위협에 대비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 생태계를 글로벌로 확장할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LLM으로 악성코드 쉽게 읽는다…비전문가도 쉽게 이해
라온시큐어가 최근 등록한 생성형AI를 활용한 보안 대응 시스템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의 바이너리 코드 시각화 장치 및 방법'이다. 해당 특허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악성 코드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바꿔준다.
난독화된 저수준의 언어를 개발 언어 등 고수준의 언어로 변환하며 이를 다시 자연어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비전문가도 악성코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입력하는 데이터 양에 제한없이 고수준 언어로 변환할 수 있다.
박현우 센터장은 "침입 데이터나 악성코드를 분석하려면 많은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며 "개발자에게 익숙한 소스 코드가 아닌 이미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 원리를 판단하는 것도 중요한데, 이를 위해 LLM을 추가학습시켜 프로그램을 넣으면 이를 개발자가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대량의 데이터를 잘게 쪼개서 LLM에 넣고 다시 조합했을때도 성능이 잘 나와야 하는데, 보통 큰 데이터를 넣으면 문맥의 연결성이 부자연스러운 등 오류가 꽤 생긴다"라며 "특허 기술은 대량의 데이터를 쪼개서 넣더라도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LLM에 프로그램 해독 도메인 지식을 추가학습시켰다"라고 부연했다.
라온시큐어는 이 특허 기술을 앞세워 솔루션 또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제공하거나 기존 보안 시스템과 연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계획이다.
딥페이크 탐지 기술에도 AI 활용…하반기 서비스 출시
라온시큐어는 또 딥페이크(불법합성물) 대응도 병행하고 있다. 현재 딥페이크를 비롯해 AI가 작성한 글과 같은 AI 생성 콘텐츠 탐지 기술을 개발 중이다.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이미지부터 동영상, 안면추출, 주파수 계열 변환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해 생성형AI의 특징을 탐지한다.
박현우 센터장은 "딥페이크는 AI로 생성되며, 이를 탐지하는 과정도 AI가 담당한다"며 "사람 얼굴의 혈류 변화나 질감 등을 확인하는 라이브니스 체크 솔루션이 있는데 실시간으로 생성형AI 특징을 탐지하는 방향으로 이 솔루션을 고도화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센터장은 "올해 하반기 개인이 쉽게 딥페이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라며 "이 서비스는 10월 29일 열릴 자사의 시큐업 세미나에서 미리 체험할 수 있도록 준비중이며, 추후 기업이나 기관에도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양자내성암호·동형암호 경쟁력 확보
박현우 센터장은 생성형AI가 보안 솔루션과 맞물리면 보안 위협에 대응을 좀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미 라온시큐어는 FIDO(생체인증) 분야에서 입지를 탄탄히 하고 있다. 2015년 5월 출시해 현재 2세대 버전으로 서비스되는 FIDO(생채인증) 기반 MFA(다중인증) 지원 인증 통합 플랫폼인 원패스'는 현재 국내외 약 1000만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국내에선 시장 점유율 1위다. 패스워드리스 사업은 기존 인터넷뱅킹에서 일반 고객 인증을 책임지고 있고, 이제는 내부 업무로 확장돼 내부 사용자 인증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여러 은행권에서 내부통제 혁신사업을 수주하고 구축을 완료했다.
미래 먹거리인 양자내성암호와 동형암호 관련 기술 경쟁력도 갖췄다. 양자내성암호란 양자 컴퓨터가 등장한 이후 그에 따른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비대칭 키 암호 알고리즘이다. 동형암호란 고객정보를 암호화한 상태에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암호체계 기술로, 내부 개인정보는 보호하면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라온시큐어는 전세계적으로 암호 분야의 기술력을 인정받는 양자내성암호와 동형암호 전문 기업 크립토랩과 보안솔루션 공동개발에 협업하는 방식으로 기술 고도화를 해나가는 중이다. 또한 자사 보안 솔루션에 양자내성암호를 접목하고, 보안 강도를 크게 높여주는 동형암호 기반 신규 솔루션도 개발 중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LLM을 활용해 악성행위 분석의 어려움과 대응 인력의 한계를 개선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전세계적으로 저희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다"라고 강조했다.
이선율 기자 melody@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