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망처리장치(NPU), 그래픽처리장치(GPU), 텐서처리장치(TPU), 데이터처리장치(DPU) 등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싱 유닛(XPU)을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도록 인프라에서부터 온디바이스 AI까지 제공하겠다."
국내 대표적인 IT인프라 공급업체인 대원씨티에스가 3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인공지능(AI) 컨퍼런스인 'DIA 넥서스 서밋(DIA Nexus Summit) 2024' 컨퍼런를 개최하고 엔드투엔드 AI 인프라 솔루션의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AI 시장 진출에 나선 대원씨티에스는 이번에 처음으로 개최한 다이아 넥서스 서밋을 통해 AI 비즈니스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주겠다고 강조했다.
300여명의 AI 관계자들이 참석한 이번 컨퍼런스에는 딥엑스, 노타AI, 케이투스, 슈퍼마이크로, 텐AI, 바스트데이터 등 대원씨티에스와 협력관계를 구축한 국내외 AI 기업들이 참여해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대원씨티에스 엔터프라이즈 부문 김광정 대표는 환영사를 통해 “기업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은 가공되기 전의 다이아몬드 원석과 같다. 이것을 새로운 밸류로 만들어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AI이고 사람과 사물 사이의 관계를 이어 줄 수 있는 것이 넥서스”라면서 "다이아 넥서스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도록 인프라에서부터 온디바이스 AI까지 제공하겠다"고 목표를 밝혔다.
대원씨티에스는 엣지용 AI 반도체 기업 딥엑스와의 협력을 통해 엣지 AI까지 확장된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노타AI와는 NPU 기반의 지능형 알고리즘을 협력 중이다. 노타AI는 온디바이스 AI 개발을 하기 위한 자동화 플랫폼 넷츠프레소와 노타ITS, 노타DMS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엣지단에서 데이터센터까지 AI 플랫폼을 제공하는 케이투스는 딥엑스 및 노타AI와의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서버 및 스토리지 업체인 슈퍼마이크로와 AI 인프라 기업 텐, 데이터 스토리지 관련 분야의 바스트데이터 등과도 협업하고 있음을 소개했다.
이날 무대에 오른 대원씨티에스 김성태 상무는 대원씨티에스에서 공급하는 AI 인프라를 활용해 환각 현상 제거와 사내 CRM(고객관계관리) 데이터를 이용한 sLLM(소형언어모델) 구축 실체를 선보이기도 했다.
김성태 상무는 “학습과 추론, 데이터센터와 엣지, 소프트웨어 서비스, 하드웨어 구축 등을 위해 연결성은 매우 중요하다. 대원씨티에스는 협력사와의 광범위한 연결성을 통해 엔드투엔드(End-to-End) AI 인프라 솔루션을 모두 구축해 줄 수 있는 유일한 기업으로 나아가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윤정 기자 ityo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