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2금융권 가계부채 증가세에 제동을 건다. 은행권의 가계 대출 관리로 2금융권 가계 대출이 늘어나는 ‘풍선효과’를 차단하기 위해서다. 

서울에 위치한 은행 개인대출 및 소호대출 창구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뉴스1
서울에 위치한 은행 개인대출 및 소호대출 창구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뉴스1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오는 15일 상호금융, 보험사, 저축은행, 여신전문 금융사·협회 관계자들을 불러 가계부채 관리 강화 회의를 연다. 

지난 11일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2금융권 협회, 5대 시중은행 등을 불러 점검회의를 한 지 나흘만이다. 

금융당국은 2금융권의 이달 가계대출 증가액이 1조원을 넘길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액이 10월 1조원을 넘기는 것은 지난 2022년 5월(1조4000억원) 이후 약 2년 반 만이다.

금융위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이번 회의에는 금융협회뿐 아니라 새마을금고, 농협중앙회, 삼성생명, 교보생명 등 개별 금융회사들도 참석한다. 카드사는 대상에서 빠졌다. 

금융당국은 은행에서 2금융권으로 대출 이동이 본격화할 경우 추가 대책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50%인 2금융권 DSR 한도를 1금융권(40%)에 준하는 수준으로 맞추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일각에서는 2금융권이 대출 문턱을 높일 경우 중‧저신용자 대출절벽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