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전 분기보다 0.1% 성장했다. 

한국은행이 5일 2024년 3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발표했다./ 한국은행
한국은행이 5일 2024년 3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발표했다./ 한국은행

한은이 5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잠정치)이 0.1%로 집계됐다. 속보치와 같은 수준이다.

올해 1분기 전기비 GDP 성장률이 1.3%를 기록하며 9개 분기 만에 최대 기록을 세웠지만 올해 2분기 1분기 성장률의 기저효과로 -0.2%로 역성장을 기록했다. 

속보치와 비교해 보면 수출과 수입이 각각 0.2%포인트, 0.1%포인트 상향 조정된 반면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는 각각 0.8%포인트, 0.4%포인트 하향 됐다.

3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수출이 자동차·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0.2% 감소했다. 건설투자도 건물 건설 중심으로 3.6%나 줄었다.

반대로 수입은 기계·장비 등을 위주로 1.6% 증가했다. 민간소비도 전기·가스·승용차 등 재화와 의료·운송 등 서비스 부문에서 모두 늘면서 0.5% 성장했다. 

설비투자 역시 반도체 제조용장비 등 기계류와 항공기 등 운송장비 중심으로 6.5% 증가했다.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등 사회보장 현물수혜 등의 영향으로 0.6% 늘었다.

3분기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순수출(수출-수입)이 -0.8%포인트를 기록하며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내수는 성장률을 0.8%포인트 끌어올렸다. 내수 중 세부 항목별 기여도는 ▲ 설비투자 0.6%포인트 ▲ 민간소비 0.3%포인트 ▲ 정부소비 0.1%포인트 등이다.

3분기 실질 GNI는 1.4% 늘었다. 교역조건 개선과 함께 실질무역손실이 16조6000억원에서 14조2000억원으로 축소되면서 실질 GNI 성장률이 실질 GDP 성장률(0.1%)을 웃돌았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