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AI가 가져올 미래에 관해 비전을 카카오와 공유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AI와 메시지 서비스를 결합해 사용자 경험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카카오와 함께 개최한 공동 미디어데이에서 “카카오와 오픈AI의 이번 전략적 제휴 체결이 단순한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이 기대되는 부분이다”라며 “AI 도입이 전반적으로 놀라울 만큼 빠르고 AI에 적합한 요소가 많이 갖춰진 한국은 오픈AI에게 굉장히 중요한 시장이다”라고 말했다.
알트만 CEO는 최근 새로운 AI 모델이 등장하면서 이런 AI 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컴퓨팅 인프라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고 봤다.
알트만 CEO는 “AI의 발전 속도가 6개월 전만 해도 불가능했던 일이 지금은 가능해지는 시대를 살고 있다”며 “AI 모델이 점점 더 뛰어난 추론 능력을 갖추게 되면서 사람들에게 가장 큰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엔터테인먼트, 커뮤니케이션, 생산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최고의 AI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라며 오픈AI는 카카오와 협력해 사람들의 삶을 더 편리하게 만들 제품을 만들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알트만 CEO는 또 정신아 대표와 함께 AI 안전 윤리는 당연히 지켜야 하는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AI 모델이 너무 강력해져서 이제 AI 모델의 안전성과 생산성은 별개로 관리할 수 있는 요소가 아니라고 설명했다. 만약 AI 에이전트가 이용자의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한다면 AI가 이용자의 파일을 임의로 삭제하거나 잘못된 메시지를 대신 전송하지 못하게 하는 안전장치를 반드시 걸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AI 에이전트 이용자는 AI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하며 데이터 보호가 확실히 이뤄져야 한다”며 “AI 안전성 보장은 AI 제품이 시장에 나오는 속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카카오의 AI 서비스는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내부에서 테스트할 때 유해질문 체크리스트를 20개쯤 만들어 AI가 통과하지 못하면 수정하고 개선하고 있다”며 “오픈AI는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이런 안전성 검증 절차가 더 꼼꼼하게 되어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정신아 대표는 이어 “카카오와 오픈AI가 협력하게 되면 카카오는 한국 상황과 한국 문화에 관한 부분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 AI 서비스의 안전성을 더 강화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