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가 금융 특화 프라이빗 LLM(대형언어모델)을 도입했다고 26일 밝혔다.

/케이뱅크
/케이뱅크

지난해 2월 KT·KT클라우드·업스테이지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AI 분야 협업을 강화한 결과다.

프라이빗 LLM은 공개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챗GPT, 딥시크 등과 달리 특정 조직이나 기업 내부에서만 사용하도록 설계된 맞춤형 인공지능 언어 모델이다. 

해당 기업이나 특정 분야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 기업이 원하는 전문 데이터를 학습시켜 보다 정교하고 신뢰성 높은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데이터가 외부로 전송되지 않고 내부 서버에서만 운영되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다.

케이뱅크는 이번 프라이빗 LLM 설계를 위해 금융 공공기관, 금융학회 등에서 발표한 책 1억권 분량의 방대한 금융 전문 데이터를 활용, 사후 학습을 거쳐 최적화 했다.

이를 통해 금융 관련 질문은 물론 응답의 신뢰도를 높였으며 금융 자격 시험 23종에서 추출한 데이터로 평가해 종합적인 성능을 입증했다는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프라이빗 LLM은 내부 업무 프로세스 혁신과 대고객 AI 서비스 확대 등을 위해 활용될 예정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금융 산업은 높은 보안성과 전문적인 역량을 요하는 만큼 프라이빗 LLM의 활용도가 높다”며 “앞으로도 AI 혁신을 통해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하고 업무 생산성을 강화하며 ‘AI Powered Bank(AI 기반 은행)’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