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홈플러스가 발행한 기업어음(CP)·단기사채 등과 관련해 위법 소지가 발견될 경우 엄정 대응하기로 했다. 홈플러스의 협력업체 대금지급 동향 등도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 시 추가 대응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기업은행과 홈플러스 기업회생과 관련 관계기관 점검회의를 열고 홈플러스 대금지급 동향 및 협력업체에 대한 금융지원 현황 등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서울 영등포구 홈플러스 영등포점 모습. / 뉴스1
금융위원회는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기업은행과 홈플러스 기업회생과 관련 관계기관 점검회의를 열고 홈플러스 대금지급 동향 및 협력업체에 대한 금융지원 현황 등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서울 영등포구 홈플러스 영등포점 모습. / 뉴스1

금융위원회는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기업은행과 홈플러스 기업회생과 관련 관계기관 점검회의를 열고 홈플러스 대금지급 동향 및 협력업체에 대한 금융지원 현황 등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금감원은 홈플러스 CP 등의 인수 증권사 및 신용평가사 2곳에 대한 검사 과정에서 위법 소지가 발견될 경우 엄정 대응한다고 밝혔다. 전날 금감원이 홈플러스 회생신청 과정에서 제기된 여러 의혹 및 사실관계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신영증권과 한국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를 대상으로 검사에 착수한 것에 연장선이다.

신영증권이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하락 등을 인지하고도 CP와 전단채를 발행한 것인지가 관건이다. 업계에 따르면 신영증권은 홈플러스의 CP, 전자단기사채,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 등의 발행을 주관하고 투자자와 다른 증권사에 이를 판매했다. 홈플러스가 발행한 CP·전단채 규모는 약 2000억원,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 규모는 약 4000억원이다.

홈플러스는 지난달 25일에도 자금조달을 위해 카드사에 납부할 이용대금채권을 기초로 820억원 규모의 ABSTB를 발행했는데 같은 날 신용등급이 한 등급 하락하게 될 것 같다는 예비평정을 신용평가사 한 곳에서 전달받았다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지난달 28일 단기사채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강등된 뒤 이달 4일 자정께 회생절차개시를 신청했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이 시행 중인 홈플러스 협력업체에 대한 자체적인 지원방안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기업·농협·신한·우리·하나·국민은행 등은 기존 대출에 대해 원금 상환 없는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등을 지원하고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연체 시에도 운전자금으로 대환할 수 있는 특약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 신규 자금이 필요한 협력업체에는 최대 5억원의 긴급자금지원을 통해 유동성 확보를 돕고 있다. 

또 정부는 법원의 회생 절차 진행 과정에서 협력업체 대금 지급 상황을 점검하고 관계부처 간 사황을 공유할 예정이다. 필요한 경우 관계부처가 함께 추가적인 대응 방안도 검토한다.

금융시장 안정 노력도 지원한다. 현재까지 홈플러스 회생신청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상황이지만 홈플러스 회생신청을 계기로 업황이 부진한 일부 업종들에 대한 시장의 경계감이 커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융당국은 “긴장감을 가지고 금융시장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한편 필요 시 시장안정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적극 대응할 것이다”며 “홈플러스 상품권 등과 관련한 소비자 불편 사항에도 민원 동향을 모니터링해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고 전했다.

윤승준 기자
sjyo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