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튼테크놀로지스(대표 이세영, 이하 뤼튼)는 8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프레스 컨퍼런스 2025’를 개최하고 향후 ‘생활형 AI’ 시대를 이끌어 나갈 ‘뤼튼 3.0’ 신제품과 핵심 기술, 서비스를 발표했다. 뤼튼은 이 자리에서 ‘뤼튼 3.0’을 중심으로 새롭게 나아갈 기업 비전과 사업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와 이동재 뤼튼테크놀로지스 CPO는 이번 행사를 통해 생산성에 치중되어 진입 장벽이 높았던 ‘생성형 AI’로부터 누구나 일상 속에서 쉽고 재미있게 사용하는 ‘생활형 AI’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이세영 대표는 “이번 뤼튼 3.0 출시를 통해 모두의 일상 속 깊숙이 자리잡는 진정한 데일리 AI 서비스로 나아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뤼튼 3.0 서비스의 핵심인 ‘AI 서포터’는 단순한 비서나 보조자를 넘어 이용자 각 개인과 정서적으로 친밀하면서도 개인 최적화된 형태로 업무와 여가 활동을 돕는 AI 조력자를 의미한다. 이는 각 이용자에 최적화된 외형과 말투, 이용자 정보, 장기 기억들을 결합해 감정적 교류를 유도하는 EQ레이어를 기반으로 한다. 제성원 뤼튼테크놀로지스 컴패니언 서비스 파트장은 “우리 국민 5000만명에 각 개인에 맞는 5000만개의 AI를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뤼튼은 ‘1인 1AI’ 구현을 위해 이용자 의도 파악과 도구 추천 알고리즘, 최신 AI 모델 활용과 검색 DB 현지화, 검색의 자동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의 이용자 선호도 반영 등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이용자 사전 조사 결과 약 35%의 만족도 향상을 달성한 것으로 소개됐다.
뤼튼은 ‘뤼튼 3.0을 통해 낯선 AI 서비스에서 대중들에게 익숙한 경험을 유도하고 AI를 이용할 명확한 가치 체감 기회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수익 창출 동기를 부여하는 ‘혜택’ 기능을 통해 그동안 뤼튼이 주창해온 AI 대중화를 더욱 가속화한다는 전략을 제시했다. 뤼튼은 향후 AI 이용 과정에서 미션을 수행하며 획득한 캐시를 계좌 연동, 체크 카드, 커머스 연결까지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뤼튼은 지난 3월 총 1080억원 규모로 시리즈B 투자 유치를 마무리했으며, 현재까지 누적 투자 유치액은 약 1300억원을 달성했다. 또한 뤼튼은 지난해 10월 서비스 개시 1년 10개월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 수 500만명을 돌파했다. 매출 부문에서도 지난해 11월 캐릭터 챗 서비스를 중심으로 월 매출 10억원을 달성한 것에 이어 12월 20억원을 기록하는 등 성장세를 이어 나가고 있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는 “뤼튼의 모든 기술과 서비스는 대중들이 AI를 쉽고 편리하게 활용하며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존재한다”며 “월간 활성 이용자 1000만명을 돌파하고, 5000만 국민 한 명 한 명의 삶 속에 밀착된 생활형 AI로 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권용만 기자
yongman.kw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