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9일(현지시각)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국가별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기로 했다. 중국이 미국의 상호 관세에 대해 추가로 맞대응에 나선 데 대한 조치다. 다른 국가별 상호 관세를 일시 유예하는 대신 중국에 대한 관세는 104%에서 21%포인트(p) 높은 125%로 올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차트를 들고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 조선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차트를 들고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 조선DB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에 미국의 상호 관세에 추가 맞대응에 나선 중국에 대해 “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중국을 제외한 75개 이상 국가가 미국과 협상에 나섰으며 보복 조치를 취하지 않은 점을 언급하면서 이들 국가에 대해 “90일간 (국가별 상호 관세를) 유예 및 상당히 낮춘 10%의 상호 관세를 승인했다”며 “이 또한 즉각 시행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한국에 대한 상호 관셰 역시 90일간 기존 25%에서 10%로 낮아지게 됐다. 다만 철강, 자동차 등에 대한 25%의 품목별 관세를 유지된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SNS 글 게재 이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인상될 것이다”며 “이는 중국이 경솔하게 보복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이외 국가에 대해선 “우리는 맞춤형 협상을 지속할 것이며 그 기간에 90일간 (국가별 상호 관세) 유예가 있을 것이다”고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3월 2일 관세 및 비관세 장벽 등을 이유로 미국의 모든 무역상대국에 10% 이상의 상호 관세 시행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 관세가 5일부터 시행됐으며 여기에 미국이 이른바 ‘최악의 침해국’으로 분류한 한국·중국·일본 등 56개국과 유럽연합(EU)으로 이뤄진 57개 무역파트너에는 4월 9일부터 국가별 상호 관세가 별도 부과됐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이번 125% 관세 부과 결정은 중국이 미국의 관세 조치에 상응하는 보복 조치를 연이어 내놓은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맞대응 조치에 대응해 전날 대중국 상호 관세를 34%에서 84%로(총 104%)로 올리고 이날 다시 21%p 올렸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정부의 관세 조치가 결국 중국을 겨냥했느냐는 취지의 질문에 “이것은 나쁜 행위자에 대한 것이다”며 한국, 베트남, 일본 등이 미국과 협상 시도에 나선 점 등을 언급했다.

이성은 기자
sele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