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월마트의 가격 인상 움직임을 정면 비판했다.
18일(현지시각) 로이터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월마트는 가격 인상의 원인을 관세 탓으로 돌리지 말라"며 "월마트는 지난해 기대 이상으로 수십억달러의 이익을 올렸다. 중국과 월마트 둘 다 관세를 감수하고, 소비자에게 비용을 전가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해당 발언은 세계 최대 유통업체인 월마트가 "미중 무역갈등으로 부과된 고율의 관세 때문에 이달 말부터 일부 상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고 밝힌 데 대한 반응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대중(對中) 관세가 결국 미국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우려가 재점화되고 있다.
이에 대해 월마트는 "수익성이 낮은 유통 구조를 감안하면 가격을 흡수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다만 가능한 한 오랫동안 가격 인상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더그 맥밀런 월마트 CEO도 "관세 비용 전체를 모두 감당하긴 어렵지만, 이로 인해 식료품 가격이 올라가지는 않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월마트는 매주 전 세계에서 약 2억5000만명이 매장 또는 온라인으로 이용하며, 미국 인구의 약 90%가 자택 반경 16㎞ 이내에 월마트 매장을 두고 있는 유통업체다. 월마트가 미국 소비 흐름을 보여주는 '소비자 경기의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만큼, 이번 발언은 관세가 리테일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분석된다.
앞서 아마존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로 인해 자사 제품 비용이 얼마나 상승했는지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해당 소식이 보도되자 백악관은 이를 정면 비판했다. 유통업계 전반적으로 '관세 전가' 논쟁이 점화되는 추세다.
전대현 기자
jdh@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