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28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 2025’를 찾아 미래 함정 기술 청사진을 제시했다.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이 28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MADEX 2025’ 리셉션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HD현대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이 28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MADEX 2025’ 리셉션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HD현대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 수석부회장과 김 부회장은 이날 국내·외 군·방산 고위관계자들이 모인 리셉션에 참석해 각사의 K-해양방산 경쟁력을 알렸다.

우선 정 수석부회장은 HD현대중공업 부스에서 HD현대와 LIG넥스원이 공동 진행한 리셉션에 참석해 HD현대의 함정 기술력을 소개하고 다양한 국가들과 해양방산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는 양용모 해군참모총장을 비롯 페루·필리핀·사우디아라비아·말레이시아·태국·콜롬비아·케냐 등 7개국 인사들이 참석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환영사에서 앞서 소개한 HD현대의 홍보영상을 언급하며 “영상 속 나대용 장군은 거북선을 설계·제작한 조선시대 최고의 선박 기술자로 그가 만든 거북선은 조부이신 정주영 창업자님께 조선업에 대한 영감을 줬다”며 “이를 계기로 HD현대는 대한민국 첫 전투함인 울산함을 시작으로 총 106척의 함정을 제작, 이중 18척을 해외에 수출하는 세계 최고의 조선 강국이 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인공지능(AI) 기반의 무인화, 자동화, 전동화 등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한국의 해양 방위를 넘어 글로벌 해양 안보를 뒷받침하는 최고의 함정을 만들 계획이다”고 말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오른쪽에서 두 번째)이 28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MADEX 2025’의 한화오션 부스를 둘러보며 설명을 듣고 있다. / 한화그룹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오른쪽에서 두 번째)이 28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MADEX 2025’의 한화오션 부스를 둘러보며 설명을 듣고 있다. / 한화그룹

김 부회장 역시 이날 한화가 마련한 리셉션에서 한화 방산의 미래 기술과 비전을 소개했다. 이 자리에는 양용모 해군참모총장을 비롯해 국내·외 군·방산업체 관계자와 해외 정부 대표단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한화오션 중심의 해양방산 사업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으로 이어지는 방산 3사의 통합 역량, 시너지 효과를 설명했다. 또 그는 2030년 ‘글로벌 10대 방산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리셉션에서 “한화는 국가단위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는 글로벌 사업환경에서 사업보국(事業報國) 창업정신을 깊이 되새기고 있다”며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으로서 국가 경제에 기여하고 국격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HD현대와 한화는 이번 MADEX 2025에서 부스를 마련하고 각사의 미래 기술 경쟁력을 선보였다. 

HD현대중공업은 이번 전시회에서 차세대 스텔스 함정을 형상화한 부스를 LIG넥스원과 공동 운영하면서 내함정, 수출함정, 미래함정 등 3가지 테마로 전시 부스를 구성했다. 또 HD현대중공업은 이번 전시회 기간 중 글로벌 방산기업들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손을 맞잡는다.

한화그룹은 한화오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등 방산 3사의 통합관을 처음으로 운영한다. 한화그룹은 이번 전시를 통해 한화오션의 함정 역량, 한화시스템의 무인체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리튬이온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역량을 선보이며 통합 기술력의 시너지를 소개한다.

이성은 기자
sele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