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건을 조사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가 다른 통신사와 플랫폼 기업의 보안 점검을 병행하자 업계 일각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제기된다. 사고를 겪지 않은 다른 기업들이 점검 대상에 포함되면서, SK텔레콤 사고 원인과 피해 상황 조사와 결과 발표가 늦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SK텔레콤의 사고 조사 결과 발표가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5월 23일부터 KT(대표 김영섭), LG유플러스(대표 홍범식), 네이버(대표 최수연), 우아한형제들(대표 김범석), 카카오(대표 정신아), 쿠팡(대표 박대준) 등 주요 통신사와 플랫폼 기업의 긴급 현장 점검을 진행하고 나섰다. 유심 해킹 사고 이후 급증한 국민들의 정보 보호 및 사이버 보안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 점검은 각 사 동의를 받은 상태에서 진행된다.
업계에서는 ‘SK텔레콤 사고에 집중해야 하는 시점에, 왜 다른 업체들까지 점검하는지’를 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SK텔레콤 사고 조사에 집중해야 할 상황에서 다른 업체들의 점검을 병행하면, 사고 조사 속도가 더딜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는 “업계에서 SK텔레콤 외 다른 업체들까지 점검 대상으로 삼은 것에 불만이 나온다”면서도 “정부 의도대로 따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점검이 사고 조사가 아닌 사전 점검 성격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현재 SK텔레콤 외 다른 업체들은 BPF도어와 같은 고급 악성코드에 감염됐는지 점검을 진행 중이다”라며 “이번 점검은 국민 불안을 신속하게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SK텔레콤 사고 조사와는 별개로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