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게임관련 주요 협단체가 성남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공모전에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공모전의 백지화와 공식 사과,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했다.
한국게임산업협회, 게임문화재단, 게임인재단, 한국게임개발자협회, 한국게임법과정책학회, 한국게임정책학회, 한국인디게임협회, 한국e스포츠협회 등 8개 게임 단체는 18일 공동 입장문을 내고 “성남시 공모전의 백지화 또는 ‘인터넷’ 제외 등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관련 책임자의 공식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성남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이달 초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중독예방콘텐츠 제작 공모전’ 참가자를 모집했다. 해당 공모전은 센터 홍보와 함께 ‘중독폐해 없는 건강한 성남’ ‘4대 중독(알코올, 약물, 도박, 인터넷게임) 예방’을 주제로 명시했다. 이후 센터는 표현을 ‘게임’에서 ‘인터넷’으로 수정했지만 비판 여론은 수그러들지 않았고, 끝내 관련 게시물을 모두 삭제했다.
인터넷 게임을 알코올·약물·도박과 함께 '4대 중독' 예방 대상으로 포함한 것이 문제가 됐다. 4대 중독이라는 표현은 2013년 박근혜정부 당시 처음 등장한 것인데, 당시 게임을 마약과 같은 중독 물질과 동일 선상에 놓아선 안 된다는 비판이 여러 곳에서 제기되면서 문제시 됐다.
공모전은 성남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가 기획한 것인데 넥슨, 엔씨소프트, 네오위즈, 위메이드 등 성남시 분당시 판교 일대에 대거 게임사가 몰려있는 상황에서 게임 산업의 중심을 맡고 있는 시가 이 같은 표현을 했다는 것이 더욱 문제를 키웠다.
게임업계는 성남시가 국내 게임산업의 핵심 거점임을 강조하며 유감을 표했다. 협단체는 “성남시는 4만4000여 명의 게임 종사자가 활동 중이며, 콘텐츠 수출의 77%가 게임에서 발생하는 지역”이라며 “그런 도시에서 게임을 중독으로 규정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고 비판했다.
협단체는 이어 “게임을 질병처럼 취급하는 공모전은 게임 이용자를 ‘환자’로 낙인찍고, 산업 종사자의 자존감까지 훼손하는 행위다”라며 “게임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협단체는 끝으로 "성남시와 성남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가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합리적인 판단으로 올바른 결정을 내려주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천선우 기자
swchu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