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는 대한민국이 양자기술 강국으로 도약하는 길을 만들어가겠다.”

정승렬 국민대 총장은 9일 국민대학교 본부관 학술회의장에서 열린 ‘양자캠퍼스 선포식’에서 이같이 밝히며 양자기술 선도 대학으로 나서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정승렬 국민대학교 총장이 9일 열린 '양자캠퍼스 선포식'에서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 이윤정 기자 
정승렬 국민대학교 총장이 9일 열린 '양자캠퍼스 선포식'에서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 이윤정 기자 

정 총장은 “양자기술은 단순히 한 분야의 기술이 아니라 컴퓨팅, 보안, 센서, 에너지, 국방 등 과학기술 전반을 관통하며 기존 기술의 한계를 넘어서는 차세대 신기술”이라며 “국민대는 미래 산업과 국가 경쟁력을 견인할 양자기술의 중심에 서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국민대는 ▲기술 상용화를 위한 실증 플랫폼 구축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연구거점 성장 ▲산업 맞춤형 양자 인재 양성이라는 세 가지 전략을 추진한다.

국민대는 우선, 양자기술의 산업 현장 적용을 위해 실증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정 총장은 “기업과 함께 실험하고 검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바이오, 소재,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 양자기술의 실용화를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연구 거점 구축도 목표다. 그는 “양자컴퓨팅 시대에 필요한 다양한 알고리즘 개발, 고속 연산 인프라, 양자보안 기술을 고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 표준을 주도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국민대는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양자기술 전문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한다. 정 총장은 “양자캠퍼스는 기술의 집약체이자 교육 혁신의 장”이라며 “양자기술과 기존 전공을 융합한 교육과정을 통해 고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국민대는 양자융합부를 신설한다. 하반기 학부 과정 개설을 준비 중이며 2026년 1학기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IBM과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클라우드 퀀텀랩을 구축하고, 유럽 최대 양자컴퓨터 제조사인 IQM과 함께 QPU 기반의 초고성능 슈퍼컴퓨팅 도입도 추진한다.

정 총장은 “양자캠퍼스는 이제 국민대만의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 기술 주도권과 글로벌 경쟁력을 견인할 모두의 플랫폼”이라며 “국민대는 언제나 도전을 멈추지 않고,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대학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윤정 기자 

ityo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