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리오사AI(대표 백준호)는 시리즈 C 브릿지 라운드에서 총 17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시드부터 시리즈 C까지 7년간 유치한 누적 투자금에 상응하는 규모로, 퓨리오사AI는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기업가치 1조원의 ‘유니콘’ 반열에도 올라섰다.

퓨리오사AI 로고 / 퓨리오사AI
퓨리오사AI 로고 / 퓨리오사AI

이번 라운드는 8300억원의 기업가치를 바탕으로 총 40여개 기관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참여기관으로는 국책금융기관인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및 IBK증권, IBK벤처투자, 유진-성장금융펀드 등과 함께 케이스톤파트너스, 피아이파트너즈, 대성창업투자 등의 사모펀드(PE), 카카오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이번 라운드에서는 기존 투자자들의 재참여는 물론, 케이스톤파트너스, 넥스트랜스, 대성창투 등 신규 투자자들도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 및 시장 리스크가 높은 초기 기업에는 잘 투자하지 않는 사모펀드(PE)가 총 400억원 규모로 복수 참여한 점이 주목받는다. 이에 대해 퓨리오사AI는 “자본시장으로부터 기술 및 제품의 시장성을 인정받아 성장(Growth) 단계 기업으로 도약했다는 평가”로 해석했다.

퓨리오사AI는 이번 투자금을 2세대 AI 추론 가속기 ‘레니게이드’ 양산과 3세대 제품 초기 개발에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퓨리오사AI는 7월 ‘레니게이드’를 LG AI연구원의 거대언어모델(LLM) ‘엑사원(EXAONE)’에 공급하면서 기업 엔터프라이즈 시장에 진출했다. 레니게이드는 선정 과정에서 성능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GPU 대비 2.25배 높은 전력 효율을 선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는 레니게이드 양산에 진입하는 중요한 시점에 자본시장이 당사의 기술력과 비전에 대해 강한 신뢰를 보내고 있다는 뜻이라고 생각한다”며 “정부의 AI 스타트업 스케일업을 위한 모험자본 확대 기조 역시 매우 고무적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한국이 AI G3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AI 반도체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는 반드시 해내야 할 사명”이라고 덧붙였다.

권용만 기자

yongman.kwon@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