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유심 해킹 이후 3개월 간의 비상경영 체제를 마무리하고 변화된 글로벌 AI 환경에 맞춘 전략을 새롭게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영상 대표가  12일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열린 '정부-이통사 AI 투자협력 선언식' 이후 진행된 백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 홍주연 기자
유영상 대표가  12일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 서울에서 열린 '정부-이통사 AI 투자협력 선언식' 이후 진행된 백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 홍주연 기자

유 대표는 12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서울에서 열린 ‘정부-이통사 AI 투자협력 선언식’ 이후 진행된 백브리핑에서 “AI 글로벌 환경이 바뀌고 국내 환경도 많이 변화하고 있다”며 “국가 간 AI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정부의 정책적 지원으로 민간 활성화 여지가 커졌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의 AI 전략도 이에 맞춰 변화를 가할 예정이다. 다만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자력 개발과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이라는 두 축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AI 투자 성과와 관련해 유 대표는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인프라 사업에서 “빠른 시간 내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서비스 사업 부문에서는 AI 어시스턴트 ‘에이닷’이 현재 1000만 사용자를 확보했지만, “아직 비즈니스모델(BM) 측면이 부족한 상태”라며 “모두의 AI라는 철학과 함께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GPU 임차 지원 사업을 수주한 데 이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정예팀 5곳 중 한 곳으로 선정됐다. 유 대표는 “3년 전 AI 컴퍼니를 선언한 이후 오픈소스 활용과 독자 모델 개발을 병행해 왔다”며 “이 경험과 기술력이 정부 프로젝트 선정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이통 3사가 출자하는 AI KIF 펀드에도 SK텔레콤은 최대 출자자로 참여한다. 유 대표는 “2002년 펀드 출자 당시 초기 3000억원 규모 중 SK텔레콤이 1900억원을 출자했으며, 현재까지 그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