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14일 취임 일성으로 중소·벤처기업 지원 확대와 함께 디지털 금융 혁신을 새 방향으로 제시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금융분야 역시 신기술을 적극 활용해 혁신 흐름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금융부문의 안전한 AI 활용과 디지털 자산 생태계 육성 등에 관한 법적 제도적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무엇보다 ‘생산적 금융’을 달성하는데 힘을 보태겠다고 강조했다. 금융소비자보호처 분리를 두고 내부 반발이 심한 가운데 금소처 업무 체계 혁신과 전문성·효율성 제고에 힘쓰겠다며 금감원 내 금소처 권한 강화를 강조했다. 아울러 가계부채 관리와 기업의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 등을 과제로 내세웠다.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취임식에 참석하고 있다./뉴스1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취임식에 참석하고 있다./뉴스1

그는 또 “부동산 가격 상승이 가계대출 확대를 부추기고, 이는 다시 부동산 가격을 올리는 악순환을 형성해 대출 건전성을 악화시키고 있다”며 “국내 자금이 생산 부문보다 부동산으로 쏠리는 부작용이 심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가계부채 총량의 안정적 관리 기조를 확고히 유지하겠다”고 덧붙였다. 

부동산에 몰린 자금을 혁신 부문으로 돌리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하는 ‘생산적 금융’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이 원장은 “모험자본 공급펀드, 중소기업 상생지수 등을 도입해 금융권의 중소·벤처기업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겠다”며 “자본시장의 자금 공급 기능을 강화해 기업이 성장 자금을 시장에서 원활히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또 “금융소비자보호처(금소처) 업무 체계 혁신과 전문성·효율성 제고에 힘쓰겠다”고 했다. 금감원 내 금소처 권한을 강화하겠다는 것인데, 금소처 분리를 두고 조직 내 반발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금융권의 소비자보호 실태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대폭 강화해 필요시 감독·검사 기능을 적극 활용해 소비자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겠다”며 금감원 내 금소처 권한 강화를 강조했다.

상법 개정안의 안착을 지원하면서 기업의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도 과제로 제시했다. 이 원장은 “최근 국회에서 통과된 상법 개정안의 성공적인 안착을 지원해 대주주와 일반주주 모두의 권익이 공평하게 존중받는 질서를 확립하겠다”며 “주가조작이나 독점 지위 남용 등 시장 질서와 공정을 훼손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 대응하겠다”고 했다.

이 원장은 “금융산업이 국가 경제의 대전환을 지원하는 동시에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맡은 바 소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