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우버의 핵심 시장 중 하나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실제 택시 호출부터 배차·탑승까지 완료된 수치는 매년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며 “우버는 승객과 기사 모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는 챌린저 브랜드로서 혁신을 촉진하고 서비스 품질을 높여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는 도니믹 테일러(Dominic Taylor) 우버 모빌리티 아태지역 총괄 대표가 우버 택시 기자 간담회에서 밝힌 내용이다.
26일 우버 택시(Uber Taxi)는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상반기 성과와 하반기 신규 서비스 론칭 계획을 공유했다.
우버 택시는 올해 상반기 자사 앱을 이용하는 택시 확대에 주력하며 안정적인 배차 체계를 구축하는 데 집중했다. 이를 위해 택시 이용률이 높은 젊은 직장인과 여행객 등 핵심 소비층을 겨냥해 신규 서비스를 출시하고 적극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했으며, 이는 점유율과 브랜드 인지도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송진우 우버 택시 코리아 총괄은 “올해는 우버 가맹 기사 확보를 핵심 과제로 삼았다”며 “이를 통해 빠른 배차와 높은 배차 성공률을 달성하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해 수요 증진에도 힘썼다”며 “대표적인 서비스로 우버 XL이 있는데, 이를 통해 공항 이동 수요를 전략적으로 공략하는 동시에 가맹 기사와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외국인 관광객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전국 호텔과 협력해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인천 크루즈 터미널에 우버 픽업 존도 마련했다.
송 총괄은 하반기 모빌리티 멤버십과 청소년 전용 서비스 등 국내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현지화에 집중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 일환으로 글로벌 우버의 멤버십 서비스인 ‘우버 원(Uber One)’을 한국 시장에 도입한다. 우버 원은 택시 이용 빈도가 높은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구독형 서비스다.
우버 원 서비스는 택시 이용 시마다 최대 10%의 크레딧이 적립되며, 크레딧은 다음 승차 시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또 높은 평점을 받은 기사가 우선 배차되며, 멤버십 전용 혜택도 제공된다. 이와 함께 우버 원 가입 이력이 없는 신규 이용자를 대상으로 1개월 무료 체험도 제공된다. 해당 서비스는 일부 지역에서 베타 테스트를 거친 후 9월 초까지 순차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청소년 전용 서비스인 ‘우버 청소년 자녀 계정(Uber teen accounts)’도 9월 29일 선보인다. 이 서비스는 부모와 청소년 자녀 계정을 연동하는 방식으로, 맞벌이 가구 증가에 따른 돌봄 수요 확대에 대응해 도입됐다.
해당 서비스는 청소년이 택시를 호출할 경우 최고 평점을 받은 기사가 배차되며, 부모는 우버 앱에서 자녀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월별·건별 지출 한도 설정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PIN 번호 인증, 앱을 통한 112 전화 연결 등 우버 택시의 모든 안전 기능이 필수 적용된다. 예컨대 택시가 5분 이상 정차하거나 예정된 경로와 다른 길로 이동할 경우 즉시 신고할 수 있다.
송 총괄은 “PIN 번호 인증은 국내에서 우버 택시만 제공하는 기술로, 승객이 올바른 차량에 탑승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차별화된 안전 기능”이라며 “이 서비스는 서울·인천·성남·대전·대구·울산·부산·제주에서 먼저 시작해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회사는 기사들의 운행 환경 개선과 수익 다변화에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기사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드라이버 전용 앱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고 있으며, 업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인 2.5%의 수수료를 유지하고 있다.
또 장거리 이동 수요가 많은 외국인 승객과의 접점을 강화해 공항 호출 건수를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리는 등 기사들의 수익 증대에도 기여했다. 이를 통해 가맹 지역과 기사 수 확대를 이끌었으며, 부산과 제주 등 핵심 관광지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회사는 가맹 기사들의 추가 수익 창출을 위해 새로운 래핑 옵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기존 가맹 택시에 부착되는 래핑을 세분화해 브랜딩 효과는 유지하면서 여유 공간에 광고물을 부착해 부가 수입을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송 총괄은 “앞으로도 한국 시장 환경과 기사·승객의 요구에 맞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허인학 기자
ih.he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