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일본 일정 공유 플랫폼 기업 타임트리에 약 206억원을 투자하고, AI 에이전트 기술 수출에 나섰다. 자사 ‘에이닷’ 기반 기술을 타임트리에 적용해 일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글로벌 일정 공유 플랫폼 기업 타임트리(공동대표 박차진·후카가와 야스토)와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서비스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고 8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이를 위해 5일 일본 도쿄에서 타임트리와 전략적 파트너십 및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타임트리는 2014년 일본에서 설립된 스타트업이다. 일정 공유 앱 ‘타임트리(TimeTree)’를 운영하고 있다. 이 앱은 세계 약 6700만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글로벌 플랫폼이다. 일본에서는 ‘제2의 라인’으로 불릴 정도로 주목받는다.
SK텔레콤은 이번 협력의 일환으로 타임트리에 22억엔(약 206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AI 에이전트 서비스 생태계를 일본으로 확장하고, 일본 AI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일본은 최근 AI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는 시장이다. SK텔레콤은 일본 진출을 통해 자사 AI 에이전트 서비스의 기반을 넓히고, 나아가 글로벌 AI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SK텔레콤의 AI 에이전트 기술력과 상용화 역량을 타임트리 서비스에 적용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의 AI 기술이 해외 서비스에 적용되는 첫 사례다.
SK텔레콤이 타임트리에 제공할 핵심 기술은 8월 에이닷(A.)을 통해 선보인 ‘에이전틱 워크플로우(Agentic Workflow)’다. 에이전틱 워크플로우는 AI 에이전트가 단순히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의 사용 이력을 분석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필요한 작업을 순차적으로 계획·실행하는 기술이다. 업계에서는 AI 에이전트 성능 향상의 핵심 기술로 평가하고 있다.
양사는 이 기술을 타임트리 앱에 적용해 기존의 수동적 일정 관리 서비스에서, 사용자 일정과 사용 패턴·선호도에 기반한 맞춤형 활동 및 이벤트 추천이 가능한 능동형 AI 서비스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타임트리와의 협력은 SK텔레콤 AI 에이전트 기술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다”라며 “한국과 일본 양국의 AI 에이전트 생태계 확장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