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에 접수된 무단 소액결제 관련 고객 문의가 9만건을 넘으며 추가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1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실(더불어민주당)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 기준 언론보도 등에 따른 소액결제 관련 키워드로 KT에 들어온 고객 문의는 9만2034건이다. 지난해 휴대전화 소액결제 시장 전체 민원 접수(1만5044건)보다 약 6배 많은 수치다.
전날 KT는 자체 조사 결과 현재까지 파악된 피해자는 278명, 결제 취소를 포함한 피해액은 약 1억7000만원이라고 밝혔다. 회사 측은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접속 회선을 통한 ARS 인증으로 상품권 결제가 이뤄진 사례들을 추출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고객 문의 수가 9만건이 넘어가는 것을 고려하면, KT가 확인하지 못 한 피해자가 폭증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황 의원실은 지난달 27일부터 열흘간 소액결제 이용자 수와 이용 금액 등의 관련 자료를 요청했다. 그러나 KT는 지난 10일 “월별로 관리 중이라 정확한 현황을 즉시 추출하지 못한다”는 취지로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황 의원은 “로그기록과 요금이 모두 시스템상 남아있음에도 전체 소액결제 거래 현황은 파악할 수 없다는 KT의 태도가 결국 해킹 피해 규모를 축소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낳는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직접 소액결제 내역을 파악해 실제 피해 규모를 명백히 밝히고 축소 은폐 행위에 대해서는 강력한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아 기자
kimka@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