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 전산망 핵심 시설인 대전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에서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올렸다. 또 위기대응 체계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로 격상했다.

26일 오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불이 나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 뉴스1
26일 오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불이 나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 뉴스1

행정안전부는 27일 오전 윤호중 장관 주재로 '국정자원 화재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대응 상황판단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행안부는 "이번 화재로 행정서비스 다수 이용이 불가하다"며 네이버 공지 게시판으로 국민 행동요령을 안내했다.

26일 오후 배터리 폭발 화재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 입주한 정부 서비스가 중단됐다. 화재는 10시간여 만에 진화됐다.

중단된 서비스는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등 1등급 12개, 2등급 58개 시스템이다. 또 정부24 등 정부 부처 홈페이지의 접속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함께 인터넷 우체국 등 우편 서비스와 우체국 예금·보험 등 금융서비스도 마비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동원 가능한 최대한의 자원을 활용해 조속히 서비스를 재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과기정통부도 과기정통부 소관 주요 행정 시스템 장애에 대응해 매뉴얼에 따라 긴급 상황판단회의를 개최했다. 신속한 대응을 위해 '경계' 단계의 위기경보를 발령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