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전국 10만5000개 의원과 약국에서도 실손보험 청구전산화 서비스 ‘실손24’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병원 창구를 직접 방문하거나 종이서류를 제출하지 않아도 돼 실손보험 청구 절차가 단축될 전망이다.
2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보험개발원·생명보험협회·손해보험협회 등 유관기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청구전산화 유관기관 점검회의’를 열고 확대 시행을 위한 준비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조치로 의원·약국 등 총 10만4541개 요양기관이 ‘실손24’ 대상에 포함됐다. 오는 25일부터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아직까지 전체 의료기관 참여숫자는 적어 제도 정착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실손24 시스템을 연계한 기관은 1만920곳(10.4%)에 그친다. 병원급 기관의 연계율이 54.8%인 반면, 의원·약국 단계는 6.9%로 낮다.
당국은 전자의무기록(EMR) 업체의 참여 확대를 통해 연계율이 점진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손보험 가입자는 ‘실손24’ 앱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계산서·진료비 세부내역서·처방전 등을 보험사에 전자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네이버지도나 카카오맵에서 ‘실손24’ 검색으로 참여 병원을 확인할 수 있다. 앱 사용이 어려운 고령층은 ‘제3자 청구’ 기능을 통해 자녀가 대신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다음달부터 네이버·토스 등 주요 플랫폼에서도 실손24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실손24를 통해 보험금을 청구하면 네이버페이 포인트 3000원과 회차별 추가 포인트(최대 50만원)를 제공하는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요양기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도 마련됐다. 실손24 연계 기관에는 일반보험료(배상책임보험 등) 3~5% 할인, 내년 1월부터 신용보증기금 보증료 0.2%p 감면 혜택이 주어진다. 종이서류 발급 부담이 줄고, 병원 상세페이지에는 ‘실손24 연계 기관’ 표기가 추가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청구전산화는 장기적으로 국민의 보험금 청구 편의성을 높이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보건복지부와 협력해 미참여 기관과 EMR 업체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전대현 기자
jdh@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