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료계 참여율이 저조한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내놨다.
5일 금융위원회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실손전산시스템운영위원회를 개최하고 의원·약국 등 1차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2단계 전산화 확대 시행 방안을 논의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전산화에 참여한 요양기관은 7801곳으로 전체 대상의 59.4%에 불과하다. 특히 의원·약국 등 2단계 참여율은 3%대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의료계 참여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올해 말까지 전산화에 동참한 병원·약국은 신용보증기금 보증부 대출의 보증료를 5년간 0.2%포인트 감면받을 수 있다. 내년부터는 일반보험 보험료를 3~5% 할인하는 방안도 시행된다. 요양기관뿐 아니라 EMR(전자의무기록) 업체에도 동일한 혜택을 제공해 참여 저변을 넓히겠다는 구상이다.
소비자 편의 확대를 위해서는 온라인 플랫폼과의 연계가 추진된다.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국민 다수가 이용하는 서비스를 실손24와 연결해 병원 예약부터 보험금 청구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 서비스에는 전산화 연계 병·의원과 약국을 표시하고, 진료비 결제 시 알림톡을 통해 곧바로 보험금 청구로 이어지게 한다.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응급의료포털(E-gen)에도 전산화 연계 여부를 표시해 응급환자 편의성을 높인다.
실손24 서비스 자체도 고도화한다. 진료과목·시간·휴일 진료 여부 등 상세 검색 기능을 추가하고, 플랫폼 포인트 캐시백 등 이용자 혜택을 제공한다. 보험회사는 실손24를 통해 30만원 이하 통원 진료 중 심사가 필요 없는 건은 원칙적으로 24시간 내에 보험금을 지급하도록 한다. 본인 인증 간소화, 서류 보완 기능 개선 등도 추진된다.
금융당국은 “올해 10월부터 의원과 약국으로 확대되는 2단계 전산화 시행에 맞춰 인센티브와 플랫폼 연계를 통해 참여율을 높이겠다”며 “국민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의료계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전대현 기자
jdh@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