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모바일 앱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이 전년 대비 1.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 NHN클라우드
. / NHN클라우드

NHN클라우드가 24일 발표한 'NHN앱가드(NHN AppGuard)' 기반 2025년 사이버 공격 탐지 분석에 따르면 올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NHN앱가드를 도입한 1400여개 앱에서 총 1억900만건의 사이버 공격을 탐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 7400만건 대비 1.5배 증가한 수치다.

NHN앱가드는 안드로이드 및 iOS 모바일 앱의 부정행위 탐지와 보안위협 대응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모바일 앱 보호 서비스다. 코드 난독화 등 소스코드 보호, 메모리 변조 및 후킹·해킹 툴 차단, 안티 디버깅, 위·변조 방지, 앱 무결성 검증 등 모바일 보호 서비스를 게임, 금융, 공공 분야에 제공하고 있다.

2025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사이버 공격 방식은 '에뮬레이터'다. 전체 위협의 20.1%에 달하는 2200만건이 탐지됐다. 전년 대비 23% 상승했다. 이를 통한 다계정 생성, 매크로 툴 실행, 모바일 전용 이벤트 우회 등의 어뷰징이 전년 대비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매크로' 총 탐지 건수는 1915만건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해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메모리 조작, 스피드핵 등 앱의 코드를 임의로 수정하는 '변조' 시도 역시 1629만건(전체 비중 14.9%)으로 전년 대비 90% 증가했다.

NHN클라우드는 이러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한 원인을 치팅툴의 상용화와 고도화로 인해 낮아진 진입장벽으로 분석했다. 치팅툴에 대한 접근성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용이해질 것이며, 이에 비례해 사이버 공격 횟수도 더욱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홍주연 기자
jyhon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