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텍스트 기반의 질의응답을 제공하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넘어, 다양한 업무를 완결하는 에이전트로의 진화가 필요하다. 업무 자동화 수준과 업무 영역을 확대하는 ‘액셔너블 AI’가 AI의 미래가 될 것이다.”

고석태 제논 대표가 5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열린 제논 신기술 발표 기자 간담회 ‘Speak ON, GenON’에서 발표하고 있다. / 김경아 기자
고석태 제논 대표가 5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열린 제논 신기술 발표 기자 간담회 ‘Speak ON, GenON’에서 발표하고 있다. / 김경아 기자

고석태 제논 대표는 5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열린 ‘스피크 온, 제논(Speak ON, GenON)’ 간담회에서 “(기업 내) AI 상용화의 가장 큰 걸림돌은 기존 업무 프로세스와 AI 모델 사이의 간극”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MIT 보고서에 따르면 AI 도입을 시도 중인 기업 가운데 실제 상용화에 성공한 곳은 5% 미만에 불과하다. 보안·규제, 비정형 데이터 처리, 할루시네이션(환각) 같은 기술적 문제뿐만 아니라 AI가 실제 업무 프로세스에 통합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고석태 대표는 “현재의 기업용 생성형 AI는 대화창(챗봇 인터페이스) 안에서만 이뤄지는 질의응답 중심이라, 도입 대비 효과가 크지 않다”며 “단위 업무를 완결할 수 있는 형태의 AI 에이전트를 확대하자(는 생각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고 대표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이 도달해야 할 최종 목표로 ‘액셔너블 AI’를 제시했다. 액셔너블 AI는 초거대 언어모델(LLM)과 비전 언어모델(VLM)이 결합된 멀티모달 AI를 기반으로 브라우저와 운영체제를 직접 제어해 실질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한 차세대 AI다. 생성형 AI에서 피지컬 AI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 역할을 한다는 설명이다.

고석태 대표는 “과거 데이터 수집부터 실행까지 모든 과정을 사람이 수행했다면 현재는 AI가 데이터 분석을 지원한다”면서도 “다만 회계 감사 등 리스크가 큰 업무는 에이전트의 업무 과정을 사람이 지속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업무 수행형 AI 에이전트 솔루션 ‘원에이전트(OneAgent)’를 공개했다. 원에이전트는 ‘브라우저 유즈(Browser Use)’와 ‘컴퓨터 유즈(Computer Use)’라는 두 가지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실행된다.

‘브라우저 유즈’는 생성형 AI가 웹 기반 시스템을 자동으로 탐색하고 동적 콘텐츠를 이해한 후 스스로 판단한 후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컴퓨터 유즈’는 사용자의 PC 환경에서 파일 시스템을 탐색하고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자동화하며 기업 내부 시스템까지 접근해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단계적으로 수행한다.

단순히 업무를 보조하는 수준의 AI 에이전트를 넘어 실제 사람처럼 컴퓨터나 브라우저 화면을 인식하고 직접 시스템을 조작하며 보다 진화된 형태의 업무 자동화를 실현하는 것이 목표다. 보안을 위해 외부로 반출 불가한 데이터를 암호화해 제어하는 ‘가드레일’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고 대표는 “웹과 로컬 환경을 아우르는 통합형 액셔너블 AI 솔루션으로, 기업의 전체 업무 프로세스를 완결하고 완성함으로써 완전한 자동화에 이를 수 있다”며 “이전의 에이전트보다 조금 더 업무 자동화와 효율을 높이고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에이전트의 주요 활용 분야는 ▲휴가·출장 신청, 경비 청구, 회계 분석 등 인적자원 관리(HR)·재무 관련 업무 자동화 ▲재고관리, 발주 신청, 배송추적 등 SCM(공급망 관리) 자동화 ▲마켓센싱, 데이터 분석, 리포트 생성 등 리서치 업무 자동화 ▲민원 회신, 행정 문서 처리 등 공공 행정 업무 자동화 등이다.

제논은 그동안 생성형 AI 플랫폼 ‘제노스(GenOS)’를 활용해 금융권 중심으로 기업 생성형 AI 프로젝트를 수행해 온 바 있다. 앞으로는 공공·에너지·발전·제조 등 산업 전반으로 확장하고 인도네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도 다질 예정이다.

한편, 제논은 지난 4월 삼성증권을 기업공개(IPO) 주관사로 선정하며 코스닥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고석태 대표는 “제논은 창업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내년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경아 기자
kimka@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