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올해 3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4분기부터 무단 소액결제 해킹에 따른 여러 후폭풍이 예고되면서 마냥 웃지 못하고 있다. 업계는 KT가 SK텔레콤보다 더 많은 비용을 쓸 수 있다고 본다.

11월 6일 서울 KT 사옥 모습. / 뉴스1
11월 6일 서울 KT 사옥 모습. / 뉴스1

KT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5382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KT는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을 16.0% 끌어올렸다. 다만 KT는 올해 4분기부터 내년까지 무단 소액결제에 따른 여러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 사례를 보면 맥락이 분명하다. SK텔레콤은 4월 해킹 사고 이후 고객 보상 비용이 반영되면서 실적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SK텔레콤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0.9% 줄어든 484억원이다. SK텔레콤은 해킹 사태 이후 5000억원대 통신요금 감면과 데이터 추가 제공 등 고객 감사 패키지를 실행했다. 이 비용이 실적에 반영됐다. SK텔레콤은 올해 2분기에도 유심 무료 교체 비용과 대리점 손실 보상 비용 약 2500억원이 반영되며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37.1% 감소한 3383억원에 그쳤다.

KT가 우선 해결해야 할 과제는 유심 무료 교체 비용이다. KT는 11월 5일부터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 무료 교체를 시작했다. 증권가는 KT가 유심 무료 교체에 약 1000억원을 사용할 것으로 본다.

KT는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 2만2227명과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362명에게도 보상을 제공한다. KT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위약금을 면제한다. KT는 11월 10일부터 5개월간 월 100GB의 무료 데이터를 제공하고 15만원 상당의 단말교체 할인 또는 통신 요금 할인 혜택을 자동 적용한다.

여론 요구가 이어지고 있는 전체 가입자 대상 위약금 면제 가능성도 변수다. KT는 현재 위약금 면제 요구에 부정적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은폐 정황이 드러나며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 KT가 전체 가입자 1366만1813명에게 위약금을 면제할 경우 공시지원금 50만원 기준 약 3500억원 규모의 비용이 발생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과징금 부과 가능성도 있다. KT는 2024년 3월부터 7월까지 악성코드 BPF도어와 웹셸에 감염된 서버 43대를 발견하고도 자체 조치 후 신고하지 않았다. KT는 “개인정보 유출 정황이 없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개인정보위는 실제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조사 중이다. 개인정보보호법은 사업자가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인지한 경우 72시간 내 신고하도록 규정한다. 향후 개인정보 유출 사실이 확인될 경우 SK텔레콤이 부과받은 1347억원 수준의 과징금이 재현될 가능성이 있다.

민관합동조사단은 KT의 부적절한 대응 정황이 향후 추가로 확인될 경우 영업정지를 내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경우 KT는 추가적인 영업이익 감소가 불가피하다.

업계 관계자는 “해킹 관련 비용은 올해 3분기 실적에 반영되지 않았다”며 “4분기부터 내년까지 본격적으로 해킹 관련 비용이 실적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