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온라인·모바일 게임이 100만개에 육박한 가운데 이를 사후 관리하는 인력은 공백이 장기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게임물 사후 관리를 담당하는 게임물관리위원회(이하 게임위)는 자동식별 시스템 고도화 등을 통해 인력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의원은 사후 관리 인력이 부족한데 따른 부작용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자체등급분류 게임물 사후관리 인력은 230명이다. 상주 인력은 30여명, 재택위탁형 인력이 200여명이다. 지난해 기준 230여명의 인력이 17만여건의 게임물을 모니터링한 것으로 1인당 734건의 게임물을 들여다 본 셈이다.
이 의원은 "현재의 인력상황은 효율적인 게임물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며 "인력충원이나 효율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규철 게임위원장은 13일 문체위 국감에서 "자동화 식별 시스템을 활용해 사후 관리를 하고 있지만 다른 콘텐츠와 달리 게임은 다양한 요소들이 있어 정확도가 떨어진다"며 "향후 데이터가 쌓이고 학습을 시키며 시스템을 더욱 정교화하겠다"고 말했다.
송가영 기자 sgy0116@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