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8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부산 강서구 녹산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중소기업 제조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오른쪽)이 10월 28일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삼성전자 협력회사 '디케이'에서 생산 라인을 둘러봤다. / 삼성전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오른쪽)이 10월 28일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삼성전자 협력회사 '디케이'에서 생산 라인을 둘러봤다. / 삼성전자
이 회장은 이날 삼성전자로부터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받은 도금 업체 '동아플레이팅' 생산 현장을 둘러봤다. 그는 "건강한 생태계를 조성해 상생의 선순환을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은 삼성의 대표 CSR 프로그램 중 하나다.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삼성의 제조혁신 기술과 성공 노하우를 제공해 대한민국 제조업 발전과 상생협력에 기여한다.

동아플레이팅은 전기아연 표면처리 전문 중소기업이다. 2018년 이후 3차례에 걸쳐 삼성전자의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받았다.

동아플레이팅은 기존 수작업 공정을 자동화하는 등 제조 혁신을 통해 생산성은 37% 상승했고, 불량률은 77% 감소했다.

근무 환경도 대폭 개선했다. 청년들이 찾는 제조 현장으로 탈바꿈하며 임직원 평균 연령이 32세에 불과하다.

이외에도 동아플레이팅은 2019년 중소벤처기업부가 선정한 스마트공장 우수기업 표창을 받으며, 삼성전자와 상생협력 우수사례로 평가받는다.

한편, 이 회장은 8일 삼성전기 부산사업장에서 열린 서버용 FCBGA(Flip-Chip Ball Grid Array)의 첫 출하식에도 참석했다.

삼성전기가 국내 업체 처음으로 양산을 시작하는 서버용 FCBGA는 고성능/고용량 반도체 칩과 메인보드를 연결하는 패키지 기판이다. 명함 크기만한 기판에 머리카락 굵기보다 미세한 6만개 이상의 단자를 구현해냈다. 또 1mm 이하 얇은 기판에 수동 소자를 내장하는 EPS(수동부품내장 기술) 기술로 전력소모를 50%로 절감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글로벌 반도체 패키지 기판 시장은 5G,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고성능 산업, 전장용 하이엔드 기판 제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한다. 2027년 165억달러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혜원 기자 sunon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