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를 통해 목적지까지 가는 길은 다양합니다. 걸어갈 수도 있고 자동차나 비행기를 타고 갈 수도 있습니다. 생성형 AI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입니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생성형 AI를 통해 작은 변화부터 시작하고 점차 넓혀갈 수 있다는 점에서 생성형 AI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공성배 메가존클라우드 AI&데이터센터장이 IT조선 2024 AI&CLOUD 콘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 IT조선
공성배 메가존클라우드 AI&데이터센터장이 IT조선 2024 AI&CLOUD 콘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 IT조선

공성배 메가존클라우드 AI&데이터분석센터장은 27일 웨스틴조선 서울 오키드룸에서 열린 ‘AI&CLOUD 2024’ 콘퍼런스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조선미디어그룹 IT전문매체 IT조선이 인공지능 전환 시대에 맞춰 국내외 기업 AI 혁신과 클라우드 전략을 살펴보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공성배 센터장은 이날 콘퍼런스에서 ‘섀도 IT에 대응하기 위한 엔터프라이즈 생성형 AI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섀도 IT는 조직의 IT거버넌스로 관리되지 않는 비인가 기술 리소스·소프트웨어·응용프로그램 등을 조직 내에서 활용하는 관행을 통칭하는 말이다.

공성배 센터장은 섀도 IT 관점에서 생성형 AI는 영업기밀이나 고객정보 등 보안을 위한 통제 대상이지만 다른 문화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봤다.

공 센터장은 “생성형 AI는 데이터에서 가공 표현을 학습하고 이를 통해 오리지널 데이터와 유사성을 유지하면서 독창적인 산출물을 만들어 낸다”며 “생성형 AI는 정보 유출이나 정보 식별 문제, 거버넌스 통제력 약화 등의 부작용이 있는 반면 업무 생산성과 효율을 높이는 순작용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생성형 AI로 회의록을 정리한다든지 하는 걸 보통 회사들이 막아놓기 때문에 직원 개인메일로 하는데 회사가 이를 관망하는 상태다”라며 “이런 섀도 IT 관련 부분을 기술 문화적으로 전환하려면 관망이 아니라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이미 생성형 AI를 임직원이 어떤 형태로든 이용하고 있으니 회사가 관망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공성배 센터장은 특히 생성형 AI를 수면 위로 올려 본격적으로 사용하려면 조직 차원의 수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 센터장은 “생성형 AI를 이용해서 기업 데이터의 접근성을 개선하자는 주제를 잡되 본사에 이런 AI 기술을 적용하는데 다른 기업은 하지 않는 새로운 걸 해보자는 마음은 내려놓을 필요가 있다”며 “그런 것 대신 작은 영역에서부터 작은 성공을 거두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