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은 구글 클라우드와 고객의 멀티 클라우드 환경 간소화를 지원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또한 오라클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서비스에서 애저 AI 플랫폼을 확장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오라클과 구글 클라우드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구글 클라우드의 크로스 클라우드 인터커넥트(Cross-Cloud Interconnect)는 전 세계 11개 리전에서 고객 온보딩(onboarding)을 지원할 예정이다. 오라클과 구글 클라우드의 고객은 이 서비스를 활용해 클라우드 간 데이터 전송 비용 없이 범용 워크로드를 배포할 수 있고, 오라클과 구글 클라우드의 서비스를 자유롭게 취합해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올해 하반기에는 데이터베이스앳구글클라우드(Oracle Database@Google Cloud)를 사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고객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앳구글클라우드를 사용해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에서 실행되고 구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배포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고객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구글 클라우드로의 마이그레이션을 간소화, 가속화할 수 있는 유연한 옵션이나, 기존 구글 클라우드 약정을 통해 구글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에서 오라클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등을 구매할 수 있는 간소화된 구매 및 계약 경험, 통합된 고객 경험 및 지원 등을 누릴 수 있다. 이 외에도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구글의 AI 서비스들과 연결하고, 엔터프라이즈급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오라클은 북미와 유럽 지역을 시작으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전 세계 구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서 직접 운영 및 관리할 예정이다. 오라클 엑사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오라클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오라클 RAC(Oracle Real Application Clusters)는 하반기에 미국 동부(애슈번)와 미국 서부(솔트레이크 시티), 영국 남부(런던), 독일 중부(프랑크푸르트)의 4개 리전에서 우선 제공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오라클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와 OCI를 활용해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AI 플랫폼을 확장하고 오픈AI에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OCI 수퍼클러스터는 초저지연성 RDMA(원격 집적 메모리 액세스) 클러스터 네트워킹 및 HPC 스토리지로 연결된 최대 6만4000개의 엔비디아 블랙웰 그래픽처리장치(GPU) 또는 GB200 그레이스 블랙웰 수퍼칩까지 확장된 구성을 제공해 대형언어모델(LLM) 훈련을 가능케 한다.
권용만 기자 yongman.kwon@chosunbiz.com
- 오라클, 애플리케이션 코드 AI로 작성하는 ‘코드 어시스트’ 발표
- 제니 차이 스미스 오라클 부사장 “융합형 데이터베이스 23ai, 300개 이상 AI 신기능 담아”
- 오라클·팔란티어, ‘클라우드·AI 서비스’ 공동 판매·지원
- 앤디 멘델손 오라클 부사장 “데이터베이스의 미래는 융합형”
- 지기성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사장 “AI 에이전트 시대, 성공사례 주목해야”
- 오라클, LLM 통합 DB ‘히트웨이브 생성형AI’…“경쟁제품 대비 30배 빨라”
- “AWS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쓴다”
- 구글 클라우드 품에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쓴다… 4개 글로벌 리전 지원
- 오라클, AI 중심 기업용 ‘생성형 개발 인프라’ 발표
- 오라클, 히트웨이브 신기능 대거 발표 “AWS서도 강력한 성능·효율 제공”
- 오라클, 애플리케이션 개발 가속화 ‘코드 어시스트’ 발표… “AI가 코드 제안”
- 오라클, AI·클라우드 시대 ‘오픈 멀티클라우드’로의 전환 [테크리포트]
- 쿠마르 라자마니 오라클 부사장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 AI로 가치 높여”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