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내달부터 국내 거래소에 상장된 600여종의 가상자산의 ‘상장유지’ 여부를 심사한다는 소식에 패닉셀 장세가 펼쳐지고 있다. 알트코인(비트코인을 제외한 소규모 가상자산)의 국내 시장 퇴출 여부가 불분명해지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히 얼어붙는 모양새다.  

사진  = 업비트 / 빗썸
사진  = 업비트 / 빗썸

18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업비트, 빗썸 등 국내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에 상장된 알트코인 대부분이 나흘 연속 하락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날 오후 업비트 원화마켓 상장된 가상자산 124종 중 비트코인 등 120개 가상자산이 하락 중이다. 빗썸 역시 원화 마켓에 상장된 259개 가상자산 중 243개가 힘을 잃고 추락하고 있다.  

이 같은 대규모 하락세는 지난주 금융당국이 내달 ‘가상자산 이용자보호법’ 시행을 앞두고 국내 상장 가상자산들의 부실여부를 평가하겠다 밝힌 여파다. 대다수 가상자산들의 상장폐지가 예상되며 급락을 우려한 투자자들이 잇따라 보유 코인을 내던지고 있는 것. 

금융당국은 최근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사례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업계에서는 '국내에만 상장된 단독상장 가상자산 다수가 금융당국의 강화된 심사 가이드라인 기준에 미달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고 있다. 

해당 가이드라인은 내달 법 시행을 앞두고 금융당국이 국회에 제출한 모범사례다. 이에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거래소들은 분기별로 자사에 설치된 심사위원회에서 상장 가상자산이 기준에 미달하는지를 평가, 상장 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하지만 심사 기준에서는 발행사의 기술적 역량과 더불어 과거 사업이력과 운영 투명성 등 거래소의 재량에 맡기는 항목도 많아, 확실하게 존속 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거래소에 상장된 가상자산은 총 600종으로, 이중 300개가 한 거래소에만 상장된 가상자산이다. 앞서 업비트를 비롯한 원화거래소들은 지난해 말부터 ‘가상자산 이용자보호법’ 시행을 앞두고 단독상장 가상자산들의 거래지원을 연이어 끊으며 ‘솎아내기’를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불안감이 증폭되며 일부 투자자들은 거래소에 상장유지 기준과 거래지원종료 공지 일정 등을 문의하고 나서기도 했으나, 가상자산 거래소측은 ‘추후 공개 예정’이라는 답변만을 내놓고 있다. 

가상자산 거래소 관계자는 “해당 평가 기준은 금융당국이 지난주 국회에 제출한 자료”라며 “상장지원에 대한 모범사례일 뿐 금융당국이 상장폐지와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이 확실히 정해진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원재연 기자 wonjaeye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