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 연준은 간밤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2020년 이후 4년 6개월만에 정책금리를 인하했다”며 “정부는 높은 경계심을 갖고 관계기관과 긴밀히 공조해 대내외 상황 변화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서울 서초구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 = 뉴스1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서울 서초구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 = 뉴스1

최 부총리는 19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고 이날 새벽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하 결정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이 참석했다.

미국 연준은 이날 새벽 FOMC에서 정책금리를 0.5%포인트(p) 인하하는 '빗컷'을 단행해 4.75%~5.00%로 결정했다. 향후 금리 경로에 대해서는 올해 인하폭 전망을 25bp(1bp=0.01%)에서 100bp로, 내년까지의 인하폭 전망은 125bp에서 200bp로 확대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50bp 인하는 7월 회의 후 추가된 지표가 반영된 결과”라며, 필요시 인하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늦출수 있을뿐 아니라 적절하다면 멈출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최 부총리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전환을 계기로 팬데믹 대응 과정의 유동성 과잉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공급망 충격이 중첩되며 촉발됐던 글로벌 복합위기에서 벗어나는 모습"이라며 “통화정책 전환 과정에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평가했다.

최 부총리는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관계기관 24시간 합동 점검체계를 지속 가동할 것”이라며 “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될 경우에는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시장안정 조치들이 신속히 시행될 수 있도록 대응체계 유지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특히 가계부채,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과 관련한 리스크 요인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8.8 부동산 공급 대책 추진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주택시장이 과열되거나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할 경우, 추가적 관리수단을 적기에 과감하게 시행하겠다”고 했다.

주요국 통화정책 전환을 계기로 내수 활성화와 민생안정에도 힘쓰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최 부총리는 “견조한 수출 호조로 회복 흐름이 이어져 왔지만, 내수 회복은 상대적으로 속도가 나지 않는 모습”이라며 “그러나 최근 물가안정, 시중금리 하락 등으로 투자와 서비스부터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체감물가 안정에 더욱 힘쓰면서 저소득층·소상공인, 건설 등 취약부문에 대한 맞춤형 지원과 범부처 투자 활성화 추진체계 본격 가동 등을 통해 내수와 민생회복 속도를 더욱 높이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원재연 기자 wonjaeyeon@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