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미국에 대규모 반도체 생산시설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에 보조금 47억4500만달러(약 6조9000억원)를 지급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는 올해 4월 예비거래각서(PMT)를 서명할 때 발표한 64억달러(약 9조2000억원)보다 약 26% 감액된 줄어든 액수다. 

반도체 관련 이미지. / 픽사베이
반도체 관련 이미지. / 픽사베이

20일(현지시각) 미국 상무부는 예비거래각서 체결과 부처 차원의 실사를 완료하고 반도체법에 의거해 삼성전자에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삼성에 대한 이번 투자로 미국은 세계 5대 최첨단 반도체 제조업체가 모두 진출한 유일한 국가가 됐다”며 “인공지능(AI)과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최첨단 반도체의 안정적인 국내 공급을 보장하는 동시에 수만 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당초 삼성전자는 440억달러를 투자하고 64억달러의 보조금을 받기로 했다. 하지만 협상 과정에서 최종 투자 규모는 370억달러 수준으로 낮춰진 것으로 알려졌다. 보조금이 약 26% 감액된 이유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투자액 자체가 줄어들어 보조금도 줄어든 것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미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 액수가 줄어든 것을 두고 외자유치를 위한 바이든 행정부의 거액 보조금 정책에 비판적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내달 20일 취임하는 상황이 변수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미국 상무부는 전날 반도체법에 따라 SK하이닉스에 최대 4억5800만 달러(약 6600억원)의 직접 보조금을 지급키로 했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