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보험계약대출 금리 부담을 완화하기로 했다. 우대금리 항목을 새롭게 만들어 대출금리 체계를 개편한다는 계획이다.

21일 김소영 부위원장(왼쪽에서 세 번째)이 제6차 보험개혁회의를 주재했다 / 뉴스1 
21일 김소영 부위원장(왼쪽에서 세 번째)이 제6차 보험개혁회의를 주재했다 / 뉴스1 

21일 금융위원회는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학계·유관기관·연구기관·보험사·보험협회 등이 참여하는 '제6차 보험개혁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금융위는 보험계약대출에 우대금리 항목을 신설하기로 했다. 보험계약대출이 통상 급전이 필요할 때 이용하는 대출로 인식되는 만큼 금융 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한다고 봐서다.

과거 판매된 고금리 저축성보험(연 6~8%)의 경우 상품의 이율이 보험계약대출 기본금리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해당 보험계약으로 대출을 받을 시 금리가 높게 설정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실제 전체 보험계약대출 잔액 71조7000억원 중 금리 6% 이상 고금리계약은 16조6000억원으로 23.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50~60대 이상 연령대에서 계약대출 잔액이 12조원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으로 적용될 우대금리는 신규 대출 뿐 아니라 기존 대출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비대면 온라인 채널 이용자나 일정기간 대출이자 미납이 없는 건전차주 등을 대상으로 우대금리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인 우대금리 세부 적용기준 및 할인폭은 보험사가 자율적으로 운영한다. 이르면 하반기부터 우대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방카슈랑스(은행에서 파는 보험) 25%룰'도 도입 20년만에 개선된다. 2003년 도입된 방카슈랑스는 은행과 보험사가 제휴해 은행 창구에서 직접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뜻한다. 금융당국은 지난 2005년부터 개별 은행에서 판매하는 특정 보험사 상품 판매 비중을 25%로 제한해 왔다.

은행의 보험 계열사 몰아주기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도입됐다. 현장 판매비중 규제로 인해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판매하지 못하는 상황 등 소비자 선택권이 제약받는 사례가 발생하곤 했다.

그러나 시장위축으로 지난해 삼성화재가 은행과의 판매제휴를 중단하면서 판매비중 규제준수가 어려워졌다. 현재 방카슈랑스를 운영하는 손보사는 실질적으로 3군데에 불과해 25%룰을 지키기 현실적으로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당국은 규제 합리화를 위해 혁신금융서비스를 먼저 운영해 규제변경 효과를 테스트 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생명보험 상품 판매제한을 33%로, 손해보험 상품은 50% 혹은 75%로 완화할 계획이다. 2년차에는 규제완화 효과에 따라 판매비중을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보험개혁회의 양대축은 '신뢰'와 '혁신'인 만큼 다음 보험개혁회의에서는 보험산업이 묵은 허물을 벗고 한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미래대비 과제를 차질없이 준비해 나가자"고 말했다.

전대현 기자
jdh@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