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지난해 반도체 공급사 매출 1위 자리를 탈환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텔에 1위를 내어준지 1년 만이다.
26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전년(5300억달러) 대비 18.1% 감소한 6260억달러(약 896조7450억원)로 전망됐다.
상위 25개 반도체 공급업체의 총 매출은 전년 대비 21.1% 증가가 예상됐다. 25개사의 시장 비중은 2023년 75.3%에서 2024년 77.2%로 1.9%포인트 늘어날 전망이다.
이번 조사에서 삼성전자는 지난 2023년 인텔에 내준 세계 2위 자리를 1년 만에 되찾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예상 반도체 매출은 전년 대비 62.5% 증가한 665억달러(약 95조2612억5000만원)다.
가트너는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메모리 제품 매출이 지난해 크게 반등했다"며 "삼성은 지난해까지 5년간 4.9%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인텔의 반도체 매출은 0.15% 증가에 그친 492억달러(약 70조4790억원)로 추산됐다. 인텔은 지난해 실적 부진으로 대규모 감원과 일부 공장 투자를 미루는 등 위기를 겪고 있다. 팻 겔싱어 최고경영자(CEO)도 4년 만에 물러났다.
엔비디아는 2계단 상승해 3위(TSMC 순위 제외 시)에 이름을 올릴 전망이다. 엔비디아의 지난해 반도체 매출은 전년 대비 83.6% 증가한 460억달러(약 65조8950억원)로 예상했다.
SK하이닉스는 4위(TSMC 순위 제외 시)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HBM에 힘입어 창사이래 최대 매출·영업이익을 냈다.
3위였던 퀄컴은 10.7% 증가한 324억달러(약 46조4130억원) 매출을 기록하며 5위로 밀려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반도체 위탁 생산만을 전문으로 하는 파운드리 업체는 제외됐다. 대만 파운드리 기업인 TSMC 매출 포함 시에는 1위 TSMC, 2위 삼성전자, 3위 인텔, 4위 엔비디아, 5위 SK하이닉스 순이 된다.
TSMC는 지난 10일 지난해 연간 순매출이 전년 대비 33.9% 증가한 2조8943억 대만달러(약 886억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